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 가지 방법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다양한 종류의 상처 각각에 알맞은 전기 자극을 알아내고 관찰하기 좋은 플랫폼이 개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 교수는 생체모방 전기자극을 활용하면 세포 활동을 더 활성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 및 생체전자공학’에 2020년 발표한 바 있다 ... ...
- [5년 후, 과학은] 효율 좋고 유연한, 에너지의 미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태양전지 분야를 개척한 연구자 중 한 사람으로 에너지 변환 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seoksi@unist.ac.kr 용어 설명 여기(excited state) : 원자나 분자에 있는 전자가 바닥 상태에 있다가 외부의 자극을 받아 일정한 에너지를 흡수해 보다 높은 에너지로 이동한 들뜬 상태. 밴드갭 ... ...
- [기획] 믿었던 킬러 T 세포가 고장 나면 어떻게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발견했어요. 최제민 교수는 “자가 면역 질환에서의 방관자 T 세포 역할을 밝히면 신약 개발의 새로운 출발점이 될 수 있고, 완치도 가능하다”며 “다른 자가 면역 질환도 방관자 T 세포의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
- 토론 1. 챗GPT, 학교에서 허용해도 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지금처럼 발전했습니다. 챗GPT도 마찬가지일 것이고, 이게 아니더라도 다른 생성형 AI가 개발될 거예요. 챗GPT 사용법을 익히면 언제든 도움이 됩니다. 최수현 덧붙이자면 미래에 챗GPT보다 발전된 형태의 기술이 나타날 수도 있어요. 그런데 챗GPT의 문제점만 생각하느라 챗GPT조차 익숙하지 않은 ... ...
- 신약 개발도 우주에서! 미세중력의 마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Space Math 소개 스타버스트는 미국에 기반을 둔 우주 항공 분야의 스타트업을 전문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는 기업이다. 2012년 설립돼 현재까지 120여 ... 우주비행사의 체험 훈련에 쓰인다. 더 긴 시간 동안 미세중력을 만들려면 반중력 기술을 개발하지 않는 한 결국 우주로 가는 것이 답이다 ... ...
- 다가온 누리호 3차 발사, 발사 관전 포인트는 ‘위성’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큐브위성은 우주방사능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져스텍의 큐브위성은 자체 개발한 자세제어시스템을 검증한다. 또 카이로스페이스의 큐브위성은 한반도 지표면의 편광데이터를 수집하고, 위성이 고장나거나 임무를 종료하면 자동으로 궤도이탈 후 대기권에 진입해 소멸하는 기술을 실증한다. ... ...
- Habitat ‘화성 1년 살이’를 계획 중이라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및 우주방사선 노출, 강한 먼지 폭풍 등 화성의 극한 환경에 적용 가능한 건설기술을 개발해야한다”고 짚었다. 특히 관건은 어떻게 화성에서 강도 높은 재료를 구할 것인가다. 김 연구원은 “건설에 필요한 재료를 지구에서 화성으로 운송하는 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화성 현지의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인공위성이 인류가 오랫동안 이어온 천문 관측을 방해하게 됐다. 과연 인류는 우주 개발과 천문 관측이라는 포기할 수 없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까. Q. 2023년 상반기 독자들에게 가장 인기가 높았던 ‘최애 은하’ 코너가 하반기에도 이어진다고 들었습니다. 상반기 연재를 마치신 ...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괴사가 일어난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혈관과 비슷한 인공 순환계를 만드는 방법이 개발돼야 한다. 현존하는 그럴듯한 해결책은 칩 위에서 미량의 용액을 흘리고 제어할 수 있는 ‘미세유체칩’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다. 혈관과 비슷한 미세한 인공 관을 오가노이드 안쪽에 만들어서 마치 혈액이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일했다. 2020년 정부출연연구소 우수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2022년 대한금속학회 동국송원학술상을 수상했다. ‘모던 알키미스트’ 등의 책을 저술했다. szhan@kims.re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