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파
발견
발각
탄로
적발
d라이브러리
"
탐지
"(으)로 총 572건 검색되었습니다.
콩코드기 비둘기의 방향감각 상실시켜
과학동아
l
200004
존 호그스트럼 박사는 “비둘기가 사람의 귀에는 들리지 않는 미세한 소리를
탐지
해 길을 찾는데, 콩코드기의 폭발음이 이 소리를 듣지 못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비둘기는 몸 안에 지자기와 태양의 위치로 방향을 알 수 있는 일종의 나침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나침반으로 ... ...
파라볼라 안테나
과학동아
l
200004
위력을 가지고 있다.그런데 '파라볼라'(parabola)는 수학에서 '포물선'을 의미한다.전파를
탐지
하는 안테나와 수학의 포물선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현수교는 포물교?중학교 수학에서 2차함수를 배울 때, 2차함수 그래프와 같은 모양의 곡선을 포물선이라고 부른다. 포물선은 공중으로 비스듬히 ... ...
1. 개성을 뽐내는 똑똑한 재료들
과학동아
l
200002
상대편 잠수함을 추적할 때나 어선들이 물 속에 있는 물고기들을
탐지
하는 어군
탐지
기에 사용된다.임산부의 뱃속에 있는 태아를 관찰하는데 사용하는 의료용 초음파 진단장치의 원리도 소나와 동일하다. 임산부의 배 위에 접촉시켜 미세한 전기신호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동시에 신호를 수신하는 ... ...
산업설비안전성평가연구센터
과학동아
l
199908
보내지기 때문에 모니터링 요원이 쉽게 결함을 발견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로봇의
탐지
내용과 결합한다면 안전성에 대한 더욱 완벽한 자료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이 연구를 맡고 있는 최재붕 연구교수는 “앞으로는 원자력발전소 1기를 세우면 가상공장 1기를 같이 세워 안전에 만전을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2. 네트워크 보안전문가 김창범
과학동아
l
199906
이때 그는 동료들과 함께 방화벽 제품인 네오게이트와 네트워크, 그리고 감시 및 침입
탐지
시스템인 네오와쳐를 개발한다. 또 서버의 보안 상태를 점검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인 네오가드와 네트워크의 보안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네오어드민도 있다. 이것들은 모두 자체 기술로 ... ...
양자전기역학 요동하는 진공
과학동아
l
199812
2}_{p1/2}$상태와 ${2}_{s1/2}$상태 사이의 천이(이를 램이동이라 함)에서 나오는 마이크로파를
탐지
해냈기 때문이다. 앞서 말했듯이 이 문제는 파동이론에 기초한 양자역학이 전자를 기술하는 궁극적 이론일 수 없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됐다.네가지 무한대양자전기역학의 무한대 문제는 근본적으로 ... ...
2. 기상예측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809
서울, 부산, 군산, 동해, 제주에 각각 레이더관측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비구름의 유효
탐지
거리는 관측소를 중심으로 반경 약 2백km 정도이다. 연속적으로 관측되는 기상레이더의 강수분포도를 분석하면 앞으로 2-3시간 동안의 폭우성 비구름의 이동방향과 속도, 강수량 등의 예측이 가능하다 ... ...
세계각국의 영상 정찰위성
과학동아
l
199809
쓰지 않았기 때문으로 알려진다. 이 밖에도 6-7세대 위성과 세계 전역의 해군시설 등을
탐지
하는 원자력 RORSAT 프로그램이 있다. 프랑스의 헬리오스 위성프랑스는 1985년부터 상업용 지구관측위성인 스폿에 기초해 군사정찰위성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스타워스에 대비하기 위해 러시아가 ... ...
2. 고래가 바다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199808
진화했다. 꼬리도 해수면에 수평이 됐다. 귀의 구조는 해수에 맞게끔 발달됐으나 음파
탐지
기관이 발달된 증거는 여전히 없었다. 그러나 이빨은 여전히 육식동물의 이빨과 비슷했다. 아직까지 원시고래는 이빨고래나 수염고래로 나뉘어지지는 않았다.한편 이때의 원시고래들은 지금의 해표류처럼 ... ...
보이지 않는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805
방법으로 초음파를 사용해 먹이도 잡고 서로 이야기도 한다. 이들은 고도로 발달된 음파
탐지
기술을 사용한다.시력이 형편없는 박쥐들은 초음파를 이용해 뇌에서 시각 영상을 만들어낸다. 이들이 만들어내는 소리는 우리가 들을 수 없는 높은 주파수의 영역인데 우리에겐 무척 다행한 일이다.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