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로
뱃길
물길
운하
수도
선로
진로
d라이브러리
"
수로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중요녹음 손실로 레코드업계 초긴장 녹아내리는 자기테이프
과학동아
l
199102
질을 제대로 평가할 수 없었다.암펙스는 80년대에 처음 이런 현상이 발견됐을 때 보관실
수로
인한 사고로 치부했다. 87년만해도 호주 국립영화소에 보관된 필름 20만릴(reel)에서 끈적끈적한 기름이 스며나와 기록된 내용을 전혀 쓸 수 없게 된 사건이 있었지만 암펙스는 이를 비밀에 붙였다. 이 사실이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01
그리고 땅속에 사는 곤충들과 그 애벌레들이 수난을 당하고 있는 것이다.대개 가로
수로
포플러 플라타너스 수양버들 은행나무 등을 심는다. 그런데 이들 나무의 상태를 봐도 그 도로연변의 공기가 얼마나 오염되었는가를 알 수 있다.경부고속도로를 건설할 당시 중앙 분리대에 보기 좋으라고 ... ...
베를린
과학동아
l
199011
말았다. 겨울철에는 스모그현상 때문에 자동차운행이 통제되고 있을 정도다.수많은 숲과
수로
, 호수와 강도 유명하다. 그루네발트 숲에는 야생사슴들이 뛰어 놀고 있으며 엘베강으로 통하는 반제호수는 여름철에 수영과 수상 스포츠를 즐기는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이 호수 주변의 넓은 백사장은 ... ...
적조현상 물고기의 떼죽음 식수오염
과학동아
l
199006
급수시설을 부식시키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소양호의 수질이 2급수에서 부분적으로 4급
수로
떨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그 정도와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소양호의 주오염원은 가두리 양식장에서 쏟아져 들어오는 사료와 인근마을에서 흘러들어오는 축산폐수이다. 소양호에는 ... ...
유전공학의 관심사 「무서운 생명력」
과학동아
l
199004
못하게 한다.우리나라에서도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부레옥잠(Water hyacinth)이 열대지방
수로
에 많이 발생해 큰 골칫거리가 돼 있다. 또한 많은 잡초들은 유해물질을 갖고 있어 사람이나 가축이 먹었을 경우 질병을 일으키거나 중독되는 경우도 있다.이와 같이 유해한 잡초들의 방제기술도 여러 가지 ... ...
남미 최남단, 「비글해협」을 지나며
과학동아
l
199004
1년이상 버려져 있는 상당히 큰 선박 한 척을 볼 수 있었다.위에 이야기한 두 도시와
수로
통제소 및 해협을 거의 다 나가서 아르헨티나쪽으로 있는 벌채하는 곳을 제외하고는 비글해협 주변은 인적이 거의 없어 자연의 소박하고 투박한 아름다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찰스 ... ...
아마존 황폐화 가속, 수은오염까지
과학동아
l
199003
수백명의 광부들과 그 가족들이 거주할 통나무집을 짓는데 사용된다.채광에 의해 몇개의
수로
(水路)의 방향이 바뀌었는데 이로 인해 말라리아를 퍼뜨리는 모기를 양산시키는 오염된 물이 거대한 늪지(marshland)를 만들었다. 다른 강에서는 바위와 대지로부터 금을 분리시키는데 쓰이는 수은이 미래의 ... ...
너무나 심각한 환경오염 우리는 이런 위험 속에 살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01
전락한다. 이어 88년에 수질이 BOD 1백3ppm을 나타낸 안양천 등이 합쳐지는 하류에선 4급
수로
떨어진다.상류인 안동에서 1급수이던 낙동강은 대구시의 생활하수와 폐수가 흐르는 금호강이 합류하는 고령 지점에서 그야말로 '먹물'로 바뀐다. 또 낙동강 하구언의 영향으로 양산공단 폐수가 역류, ... ...
만주지역의 발해유적
과학동아
l
198912
거리는 50m, 이곳에서 동쪽으로 50m 되는 곳에 井자 모양의 돌로된 우물이 있다. 궁중의식
수로
쓰던 팔보유리정(八宝琉璃井)이다. 깊이가 4m 정도이고 너비는 70cm정도.3궁에서 2궁까지는 1백m 정도, 거기서 제1궁까지는 1백50m다. 여기에는 높이 2m 남짓한 기초가 남아 있다. 궁의 동서길이는 50m 남북길이는 ... ...
PARTⅡ 센서 SENSOR
과학동아
l
198912
미생물 취락의
수로
판정하기도 한다. 이때 취락의 수는 시료 중에 살아 있는 미생물의
수로
생각할 수 있다. 살아 있는 모든 미생물은 세포 안에 ATP와 NADH를 함유하고 있다. 시료 중의 ATP나 NADH를 측정하면 '팔팔한' 미생물의 수를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우유 등 식품이나 식수의 미생물 오염 정도를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