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재
바위
암석
암벽
암반
돌멩이
스톤
d라이브러리
"
돌
"(으)로 총 1,376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1
시멘트를 만든다?땅 속에 갇힌 이산화탄소가 1만 년이 지나면 방해석과 같은
돌
이 된다는 이야기를 기억하고 있지?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시멘트의 원료인 석회석을 만드는 방법이야. 실제로 미국의 칼레라사가 화력발전소에서 나온 이산화탄소를 바닷물 속의 마그네슘이나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11
[하야부사는 2005년 11월 이토카와에 착륙해 물질을 채취했다. 이토카와는 중력이 매우 낮아 착륙이라기보다는 도킹에 가깝다.]소행성 이토카와의 탐사가 이렇게 큰 관심을 불러일으 ... 예정인 하야부사2의 상상도. 2018년 목적지에 도착해 1년 반 동안 탐사한 뒤 2020년에
돌
아올 예정이다. ... ...
10만 년 된 남아공의 고대화장품
과학동아
l
201111
인지능력이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복껍데기 옆에 있던 숫
돌
과 규암판 등으로 재료를 갈았으며, 온전한 뼈는 재료를 섞거나 꺼내 쓸 때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이번에 발견된 고대화장품은 지난 10월 14일부터 케이프타운에 있는 이지코 박물관에서 전시되고 ... ...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111
아치에 숨어 있다. 아치의 원리는 간단하다. 쐐기 모양의 홍예석을 반원 모양으로 쌓으면
돌
들이 서로 밀어내 아치 위쪽의 무게가 아치를 거쳐 기둥으로 집중된다. 따라서 건물 전체의 무게가 기둥을 통해 바닥으로 전달된다. 기둥사이의 간격을 넓게 해도 무게는 여전히 기둥을 통해 바닥으로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10
파동의 가장 중요한 성질은 연결돼 있는 모든 곳으로 퍼져 간다는 것이다. 연못에
돌
을 던져 큰 물결을 일으키면 연못의 모양이 아무리 구불거려도 구석구석까지 물결이 도달한다. 파동의 다른 중요한 성질은 ‘파동이 있는 위치는 대략적으로 이야기할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물결의 높고 낮은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10
주변에서 얼쩡거리는 애벌레들을 발견할 수 있다. 잎 뒷면이나 줄기 또는 땅 밑의
돌
틈도 애벌레를 발견할 수 있는 좋은 장소다.애벌레의 존재는 식물을 먹은 흔적(식흔)뿐만 아니라 주변에 떨어진 배설물을 보고 찾을 수 있다. 물기 있는 촉촉한 똥은 100%다. 산누에나방과, 솔나방과나 박각시과 같은 ... ...
팔딱팔딱! 민물고기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0
하천 하류나 얕은 시냇가에 작은 무리를 이루며 산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 주둥이에 하얀
돌
기인 ‘추성’이 생겨 암컷을 유인한다. 알은 민물조개 안에 낳는다.우리나라 민물고기, 우리가 지키자!어때요? 정말 예쁜 민물고기들이 많죠? 이런 민물고기가 우리나라에서 건강하고 오래도록 살기 ... ...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
수학동아
l
201110
재는 방법피사의 사탑이 몇 도 기울어졌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탑 주변을 한 바퀴
돌
았더니 어느 곳에서는 별로 기울어 보이지 않고, 어떤 곳에서는 기울어 보인다. 왜 그럴까? 쉽게 이해하기 위해 부드러운 판에 이쑤시개를 삐딱하게 꽂아보자. 평면에서는 두 직선 사이의 각도를 각도기로 ... ...
PART 2. 진동은 피곤해!
과학동아
l
201109
개의 꼬불꼬불한 대관령고개가 나 어질 씨 멀미의 범인일 가능성이 높다. 또 같은 커브를
돌
아도 승용차보다 버스가 질량이 크기 때문에 커브를 도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려 멀미가 더 잘 일어난다.버스에서 더 잘 멀미가 일어나는 이유는 또 있다. 고속버스나 시외버스는 승차감을 높이기 위해 ... ...
운석 키트
과학동아
l
201109
일반 암석의 차이그냥
돌
덩이인지, 운석인지 어떻게 구분할까. 운석은 우주 공간에 떠
돌
다 대기권을 통과해 엄청난 속도로 지표면에 부딪쳤다. 따라서 지구의 암석과 구별되는 분명한 특징이 있다.우선 운석은 지구의 암석보다 무겁다. 가장 가벼운 석질운석도 밀도가 3g/cm3 이상이므로 지구상의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