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d라이브러리
"
지금
"(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SF 영화에 나오는 것처럼 몸속에 들어가서 암세포를 찾아 파괴하는 나노로봇을 비롯해,
지금
보다 훨씬 작으면서도 더 용량이 큰 메모리칩을 만들 수도 있다. 분자기계에 대한 연구는 아 직 걸음마 단계다. 화학자들은 이제 겨우 에너지를 공급받아 원하는 방향으로 연속해 회전운동을 하거나 ... ...
INTRO. MARS 2025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1969년 인류는 달에 도착함으로써 첫 번째 도약에 성공했다. 그리고 50년 가까이 흐른
지금
, 이젠 화성이다. 미국 정부는 2030년, 민간업체 스페이스X는 2025년까지 인류를 화성에 보내겠다고 선언하며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과연 우리는 화성에 얼마나 가까워져 있을까. 화성을 향한 긴 여행을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miRNA와 siRNA의 역할은 ‘작은 RNA 월드’에서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이들은
지금
우리 몸속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을까. 앞으로 인간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까. 우리는 아직 작은 RNA를 모른다 ... ...
[Tech & Fun] 스티븐 킹의 역작 ‘살렘스 롯’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약해 밤에만 돌아다닌다는 점, 그리고 죽지 않고 젊음을 유지한다는 것입니다. 놀랍게도
지금
까지도 뱀파이어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포르피린증’이라는 질병을 앓고 있는 이들입니다.포르피린증은 적혈구 속 헤모글로빈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인 헴(heme)이 잘 ... ...
[Career] “세계의 바다를 가를 무인선박을 개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것이 아니라 앞으로 다가올 호황기를 대비해서 어떤 연구가 필요할지를 고민하는 것이
지금
이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들이 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학생들 역시 마찬가지고요. 평소 해양에 관심이 있던 학생들도 너무 겁먹지 말고 자신이 하고 싶었던 공부를 선택하라고 말해주고 싶습니다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보호하려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알아볼까요? GIB○ 1년에 2000종이 사라진다?
지금
까지 과학적으로 분류된 종은 약 200만 종이에요. 하지만 몇몇 학자들은 최대 1억 종이 살고 있다고 이야기해요. 이렇게 전문가들의 의견마저 엇갈릴 정도로 우리는 아직 지구상에 살고 있는 생물의 수를 정확히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좋은 자리에 음악이 빠질 수 없겠죠? 하지만 깜빡 잊고 악기를 집에 두고 왔지 뭐예요?
지금
섭섭박사님에게 있는 건 도시락 재료들뿐이에요. 혹시 이 재료를 이용해 신나는 음악을 연주할 수 있을까요?힌트 하나. 소리는 진동으로 전해진다!주변의 물체를 두드려 보세요. 물체가 미세하게 떨리는 ... ...
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낮아진 것이다.사실 이 미세한 온도 차이는 당연하다. 우주가 완벽하게 균일하다면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은하나 별이 만들어질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별과 은하는 물질이 많이 몰려있던 부분이 성장해 생겼다.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빅뱅의 문을 열다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PART ... ...
[수학동아클리닉] 깎은 정이십면체 축구공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오늘은 체육 시간에 축구 경기를 하는 날이다. 드디어 내 발 앞에 공이 왔고, 야심 차게 골대를 향해 슛!~을 날렸지만…. 안타깝게도 축구공 ... 되는 것이다.축구공에서 정다면체와 준정다면체의 모습을 모두 발견할 수 있다.
지금
부터 간단하게 종이를 이용해 축구공 만드는 방법을 배워보자 ... ...
[과학뉴스] 30년 핵융합 난제, 한국 연구진이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문제였다. 이 현상으로 플라즈마 가장자리가 터져 토카막 내부가 손상되기 때문이다.
지금
까지 세계 핵융합 연구자들에게는 이 패턴이 나타나지 않게 하거나 플라즈마가 붕괴하지 않게 하는 것이 숙제였다.연구팀은 국가핵융합연구소의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를 이용해 자기장으로 플라즈마를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