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그의 아이디어를 들었다면 고개를 갸웃했을 것이다. 무려 7000여 염기 길이의 DNA가닥이
작은
DNA 가닥들의 가이드를 받아 차곡차곡 채워져 특정한 형태가 된다고는 믿기 어렵기 때문이다.지난해 로데문트 교수는 박사과정학생인 우성욱 씨와 함께 DNA 오리가미를 타일로 써서 마이크로미터 크기에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수 있다. 이런 화학적 변화로 세상의 모습은 확 달라진다.반면 α 값이 너무 커지면
작은
원자핵이 존재할 수 없다. 원자핵을 이루는 양성자 간의 전기적인 반발력이 양성자들을 핵에 묶어두는 강력보다 커지기 때문이다. 만약 α가 지금보다 0.4%만 커져도 별은 생명체의 기본 원소인 탄소 원자를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충돌 당시 별로 충격을 받지 않았다는 생존자들의 증언과도 일치하는 결과였다. 이
작은
구멍이 거대한 배를 가라앉게 한 주범이었던 것이다.그런데 과연 얼음이 강철을 찢을 수 있는지 의문이 생긴다. 1990년대 초반 타이타닉의 잔해를 인양해 연구한 결과 외벽을 만들었을 때 쓴 철의 품질이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다른 셋과 달리 지구의 뒤를 따라 태양 주위를 돌며, 적외선 영역을 관측한다. 적외선은
작은
별이나 멀어지는 은하,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천체를 관측하는 데 적합하다.위대한 관측 시리즈를 합하면 감마선에서 적외선까지의 영역을 모두 관측할 수 있다. 지상에서 관측할 수 없는 감마선과 ... ...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숙성’되는 것이다. 효소가 유지방을 지방산으로, 단백질을 펩타이드(단백질을 이루는
작은
조각)와 아미노산으로 분해하기 때문에 장에서 흡수하기 쉽다.반면 모조치즈에서는 이같은 숙성이 일어나지 않는다. 단백질을 장에서 분해해야 하므로 자연치즈에 비해 흡수되는 비율이 작다.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수백 년의 시간이 걸린다. 우주 쓰레기가 다른 우주 쓰레기와 충돌할 때마다 수많은
작은
쓰레기가 더 생기는 악순환을 의미하는 ‘케슬러 증후군’도 국제사회의 빠른 대응을 부추기는 이유 중 하나다.이와 관련 스위스 우주센터는 세계 최초의 우주쓰레기 청소 위성 ‘클린스페이스원’을 5년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위해선 모래알보다 더 촘촘한 그물을 써야 한다. 하물며 모래알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분자나 전자를 담으려면 얼마나 세밀한 그물을 써야 할까. 이를 미래에너지인 태양전지나 연료전지에 대입해보자. 모래알은 전자, 그물은 전극을 오가며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자를 담는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뭘까? 왜 빙산을 피하지 못한 걸까?출항 5분 전, 항구 앞
작은
식당에서는 확률게임이 한창이다. 카드에 운명을 건 젊은이들의 목적은 타이타닉 호의 3등석 티켓을 손에 쥐는 것! 마지막 카드와 함께 운명의 주사위는 던져지고, 행운의 여신은 가난한 노동자였던 잭 도슨의 ... ...
선 연결 없이 노트북 화면이 50인치 TV속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더 선명해진다. 16 대 9인 와이드스크린인 경우 가로줄은 1920개의 줄로 총 207만 3600개의
작은
점들이 한 화면을 만든다. 최근에는 아예 어댑터 기능을 집어넣은 TV도 나오고 있다. 어댑터를 연결하는 불편함마저도 없앤 것이다.앞으로 어디까지 발전할까올해 발표될 예정인 와이다이 3.0 버전에서는 3D ... ...
복잡한 입시, 자연계 논술로 극복!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형식이다. 연세대는 논제 수는 적지만 한 논제에서 여러 가지를 물어보는 경우가 많다.
작은
문항의 구성을 보면 간단한 계산으로 푸는 내용부터 정해진 답이 없는 것 같은 열린 문제까지 다양하게 나온다. 종종 수험생들이 대학교재를 보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잘못된 방법이다. 대학 수준의 문제와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