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경우는 어떨까. 다행히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 며칠 밤을 지새운 정도는 몸이 금세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사 마감과 편집을 위해 종종 밤샘을 하는 기자도 일단 잘 쉬기만 하면 문제가 없다.하지만 그 어떤 대비책도 교대근무나 시간외 근무를 하지 않는 것보다는 건강에 나쁘다. 김인아 ... ...
- 고집쟁이 고고학자 '깐까나게 고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집이 측우기로?썰렁홈즈 덕분에 측우기를 무사히 찾을 수 있었다. 깐까나게 고르리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화재를 다시 찾은 기쁨에 흐뭇한 표정으로 이탈리아로 돌아갔다.하지만 탐정사무실로 돌아온 썰렁홈즈는 깜짝 놀랐다. 사무실 지붕이 감쪽같이 사라져 버린 것이다. 업새블라가 썰렁홈즈의 ... ...
- 냄새 잘 맡아서 똑똑해진 포유류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우수해져 두뇌와 근육의연결, 즉 신경 네트워크도 점점 더 발달했다. 근육을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됐다. 고대포유류가 다른 동물들에 비해 감각기관, 특히 후각과 촉각이 많이 발달한 것이 두뇌와 신경계 발달로 이어졌다는 것이 티모시 교수팀의 설이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학술지 ... ...
- 고기 좋아하면 뱃속에 ‘육식미생물’ 자란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장내미생물을 넣는 실험을 했다. 연구팀은 생쥐에게 2주 동안 단백질과 지방, 탄수화물 세 가지 중 하나만 먹이로 줬다. 생쥐 배설물에서 나온 미생물의 DNA를 분석한 결과, 쥐가 먹은것에 따라 미생물 종과 유전자 발현이 달랐다.페이스 박사는 “식습관에 따라 미생물이 60% 이상 달라진다”고 ... ...
- [hot science] 스마트폰으로 내 위치가 샌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계약을 끝내고 독자적으로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구축했다.애플은 전 세계의 아이폰, 아이패드 사용자로부터 Wi-Fi AP와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수집해 사용자에게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선 아이폰은 주변 Wi-Fi AP 및 기지국 정보를 수집해 아이폰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 ...
- 범죄 막는 도시 디자인, 셉테드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말한다. 이런 설계는 오래전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용했던 전략이다. 중국에서 12세기경부터 발전한 공동주택인 ‘토루’에서도 이런 설계를 볼 수 있다. 토루 주변에 해자를 파고, 창과 출입문을 가능한 작게 만들어 외부인의 접근을 막았다. 셉테드에서도 해자를 현대적으로 다시 해석해 ... ...
- 암산 왕과 암산 신동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곱셈도 가능한지 그 원리를 선생님에게 들어봤다.“학교에서 곱셈을 계산할 때는 보통 세로로 숫자를 써서 필산으로 해요. 일의 자리부터 곱셈을 해 10이 넘으면 자릿수를 올리는 방법을 쓰죠. 10이 넘을 때마다 자릿수를 올려야 하기 때문에 실수할 가능성이 많아요. 하지만 주판을 이용할 때는 ... ...
- 12진법에서 배수 판정법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수 2a+3b+c가7의 배수이면, 원래의 수도 7의 배수라고 한다. 그 원리를 설명하여라.(4) 위의 세 사실과, 앞의 문제들에서 적절히 필요한 사실을 선택하여 7의 배수 판정법을 한 가지 정리하여 제시하여라.위의 공부를 바탕으로, 이제 12진법에서 궁금했던 5의 배수와 7의 배수 판정법을 여러분 스스로의 ... ...
- PART 1 오디션에 숨어 있는 3가지 수학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세우는 것과 비슷하다. 예를 들어 랩을 잘하는 A, 춤을 잘 추는 B, 노래를 잘하는 C 세 명이 한 팀으로 공연을 펼쳤다고 하자. 각자의 점수를 a,b,c라고 할 때, 공연의 결과 4a+2b=84, b+c=53, 3c+a=117과 같은 연립방정식이 나왔다.4a+2b=84라는 식은 랩 부분에 대한 결과인데, A의 역할이 4a, B의 ...
- 완전수 6으로 떠나는 여행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있다는 거야. 이것을 일반화하면 1부터 n까지의 합인 n번째 삼각수 2개를 더해 가로와 세로가 각각 n+1, n개의 점으로 이뤄진 직사각형으로 만들 수 있어. 그러면 n번째 삼각수는 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점의 개수의 절반인 n×(n+1)/2 이라는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단다.이번 여행 어땠니? 이제 6에 대해서 ... ...
이전3653663673683693703713723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