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회적 이슈에서 연구주제 찾기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제시됐다. 시사적인 주제로 포트폴리오를 작성할 때는 방대한 자료들 중에서 탐구하는 부
분
에 대한 신뢰도 높은 자료를 간추려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최신 정보를 소개하는 것도 필요하다. 따라서 신문이나 과학동아 같은 과학잡지를 읽고 자료를 정리해 제시하면 포트폴리오의 완성도를 ... ...
땅 속 희유금속, 식물로 찾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그 중 지질
분
야는 반드시 익혀야 한다. 지구를 구성하는 화학물질의 이동을 탐구하는
분
야이므로 화학에 취미가 있으면 더 좋다. 식물을 이용해 광물탐사를 하기 때문에 생명과학도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대학 진학 후에는 지질학은 기본이고 식물학과 미생물학을 부전공하는 것이 좋다. 물론 요즘 ... ...
Part 3. 뉴로피드백으로 명상 쉽게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표현능력의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한편 감마파는 뇌의 여러 부
분
에 흩어져 있는 단편적인 정보를 서로 통합해 인지하도록 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숙련된 명상 수행자들에게서 보이는 감마파의 증가는 인지작용과 주의각성상태의 강화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 ...
Part 2. 털 벗은 인간, 다시 털을 만들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한 가닥을 다시 쪼개는 방법으로 ‘극세사’라는 실을 만들었다. 굵기가 머리카락의 100
분
의 1 밖에 되지 않는다(지름 0.012mm 이하). 극세사를 뭉치면 오리털이나 거위털을 뭉쳤을 때보다 더 많은 미세구조를 만든다. 극세사 솜을 넣은 이불이나 베개는 다운으로 만든 것보다 1.5배 더 따뜻하다.실을 ... ...
눈 크게 뜨고 보세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작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탄생시켰다. 미니 모나리자는 가로세로가 각각 7mm, 11mm로 실제(가로 530mm×세로 770mm)의 70
분
의 1밖에 되지 않는다.니콜스는 원래 인형의 집을 장식하는 그림을 주로 그려왔다. 어느 날 그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명화’를 그리기로 마음먹었다. 첫 번째로 고른 작품이 바로 모나리자다. 그는 털이 몇 ... ...
사람도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모두 받을 권리가 있고 모두 줄 의무도 있다’는 국민들의 의식과 제도의 뒷받침 덕
분
”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도 곧 그렇게 될 거라 믿는다”며 관심을 당부했다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논의 중이란다. 이렇게 전세계 몇몇 나라에서만 시행하고 있는 제도지만, 세계은행이
분
석한 2010년 세계 탄소배출권 시장 규모는 1,500억 달러(한화 164조 원)나 된다고 해. 탄소를 잡아 가두는 기술로 벌 수 있는 돈이 어마어마하다는 뜻이지.실제로 대구시와 인천시는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 ...
'요리왕' 링링의 꿈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4회전까지 모든 대회가 끝나고 심사위원들의 평가를 기다리고 있었다.“많은
분
들이 참여해주신 이번 요리대회. 드디어 심사위원들의 점수가 나왔습니다. 우승은….”요리대회가 끝나고 허풍과 도형은 링링의 집에 초대를 받았다.“선생님, 어서 오세요. 도형아, 어서 와.”링링은 허풍과 도형을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살고 있는 우주의 구조와 진행 상태를 알 수 있다. 이때 우주상수의 크기와 물체의
분
포 및 상태를 바꾸면 다양한 우주 모형을 만들 수 있다. 괴델의 회전하는 우주도 그 중 하나다. 괴델의 우주는 아주 큰 우주상수가 있고 우주 전체가 회전하고 있다는 가정을 담았다. 이 우주에서는 시간여행이 ... ...
4악장 - 악기 개성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금관악기는 바람을 리드로 부느냐 입술로 공기 흐름을 막고 여느냐 여부 등으로 구
분
하고 재료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나무 특유의 따뜻한 느낌이 사라지는 등 음색에 변화가 있지 않을까요. 연주자나 평론가 가운데에는 그렇다고 말하는 경우도 간혹 있지만, 적어도 음향학 측면에서는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