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값싸고 사용에도 편리한 쑥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논이나 밭의 둑에 뿌리가
땅
속으로 뻗어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이른 봄에 잎이 나고
땅
속 줄기가 뻗어남에 따라 퍼지며 4월 이후에 꽃대가 선다. 보통 식용으로 쓰는 것은 이 참쑥이며 이른 봄 아직 어릴 때 뜯어서 쑥국이나 쑥떡 등의 재료로 한다. 약쑥은 산야에 널리 분포하며 잎의 윗쪽에 하얀 ... ...
SW.2 아직은 형편없지만 2001년에는 세계5위 목표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한국 소프트웨어산업의 규모는 일본의 100분의 1도 안되지만 추격속도는 대단히 빠를 것이다. 정보화 사회는 우리에게 이미 익숙한 말이 되었다. 그 ... 말로 S/W가 성장 발전할 수 있는 토양이라 하겠다. 그리고 그 토양을 잘 가꾸는 일은 오늘 이
땅
에 사는 S/W 관계인의 의무가 아닌가 한다 ... ...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잠겨서 생육하는 식물줄기속에 산란을 하며 왕잠자리(Anax parthenope SELYS)는 물가의 습한
땅
에다 산란하기도 한다. 참으로 천차만별의 산란습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산란된 알의 기간은 일반적으로 월동기간까지 약 2백40일이 된다고 하나 유충의 생육환경도 서로 다르다. 물잠자리의 일종 ... ...
기술전쟁·인간·인간성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실험장이었다. 오늘날 미국이 자랑하는 온갖 종류의 신무기는 베트남인들과 그
땅
과
땅
위의 모든것을 실험대상으로 삼아 발전시킨 것들이다. 소련이 지금 아프가니스탄에서 하고 있는 일도 몇 해 뒤에는 그 ‘혜택’을 가져다 줄 것이다. 인간의 신체는 대포탄을 막기에는 너무도 허약하게 ... ...
아프리카 코끼리의 기이한 습관 왜 어두운 동굴을 찾을까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어둠이 무섭다는 사람도 있고 폐쇄공포증이 있어 도망가는 사람도 있다.
땅
바닥에서 울려오는것같은 기분나쁜 반향음을 듣는것만으로 겁에 질려 엉거주춤해지는 사람도 있다. 동물도 마찬가지다. 만약 천정에서 바위가 떨어지면 어쩌나 하는 불길한 예측까지는 하지않더라도 밝은 시간에 훤하게 ... ...
녹색 혁명 이야기 나무 쟁기에서 유전자 조작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일반적으로 사용된 것은 19세기 후반부터였다. 학교장인 ‘엣셔’는 뼈가루를 시험삼아
땅
에 뿌려본 결과, 놀랄만큼 수확이 늘어나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1835년 뼈속의 인산염을 황산으로 처리하면 물에 녹는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한편 1840년 독일의 화학자 ‘J.폰·리비히’(1803~1873)도 이와 같은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하면 어느 순간 우연히 얻은 아이디어 하나로 벼락부자가 된 행운아도 있고 집팔고
땅
팔아 평생을 매달려도 끝내 빛을 보지 못하고 쓰러진 경우도 있다. 국내 발명인구는 어느 정도 일까. 정확한 통계는 잡기 어려우나 한국 발명특허협회에 등록된 인구는 6~7백명정도. 그러나 발명은 특정한 자격이 ... ...
핵위험도피, 새로운 환경건설 지하세계의 실험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미국의 과학자들은 약1ha 의
땅
에 지상과 똑 같은 생존조건을 갖춘 모형 생태계를 건설하고 있다. 미래의 우주개발에도 응용될 수 있고 만일의 경우 핵전쟁으로 인해 지구에 종말이 찾아왔을 때를 대비하자는 뜻도 있다"3백억원의 피난처?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시 근처에 있는 광활한 ... ...
두루봉 구석기 유적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30만년전의 나비 비늘 발견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점이다.그런데 이같은 희한하고 기적적인(?) 일이 현실로 나타났다. 30만년전에 이
땅
의 숲속을 날던 나비가 우리앞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비록 나비의 전체모습 그대로는 아니지만 날개의 편린들, 즉 비늘(鱗, scale)을 여러개나 확인하게 된 것이다. 과연 어떻게 해서 우리는 수십만년전의 나비의 ... ...
한국의 봄꽃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봄하늘을 혼자서 즐기다가 다른 식물이 활동을 개시할 무렵에는 열매를 맺고 깊은
땅
속에서 조용히 쉬기 시작하는 것이 얼레지이다.봄에 피어나는 우리나라의 야생화는 이밖에도 많다. 봄철에 산골짜기를 찾으면 쉽게 만날 수 있는 향기로운 제비꽃만 해도 무려 60종이나 된다. 민들레 앉은부채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