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d라이브러리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시간여행을 한다는 것은 시공간상에서 출발한 곳으로
다시
돌아와야 한다는 의미다. 그런데 빛보다 빠른 물체가 있다 하더라도 일반적인 시공간에서는 출발한 곳으로
다시
돌아올 수 없다. 왜 그럴까?4차원 시공간에서 공간의 두개 차원을 줄여 ... 곡선을 갖는다.그렇다면 이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후반부는 정으로 2등분했다. 예를 들어 자시는 지금의 밤 11시-새벽 1시에 해당하며 이를
다시
자초와 자정으로 나눈 것이다. 또한 하루를 1백각으로도 나눴다. 1각은 현재 시간으로 14-15분 정도다.그렇다면 조선시대의 시계가 과연 정확할까.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 복원돼 있는 앙부일구가 미시를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핵 바깥의 시계단백질 수가 줄어든다. 마치 물시계에 물이 비워지듯. 이후 시계유전자가
다시
작동을 시작한다. 이 과정이 24시간 주기로 반복되는 것이다.그렇다면 우리 몸의 어디가 여러 시계유전자들의 작용을 통제하는 곳일까?우리 눈의 망막신경절 세포층에는 광수용 단백질이 있다. 그래서 ... ...
남극 극한 환경 무릅쓴 불굴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가장 북쪽에 있는 엘레펀트섬에 상륙하는데 성공했다. 무려 16달만에 땅을
다시
밟은 것이었다. 그러나 그 곳은 안전하지 않았다.섀클턴은 구출될 방법이 없자 가장 ... 전원이 구조됐다.남극탐험사상 유례가 없는 집단생존의 신화를 만들었던 섀클턴은
다시
남극탐험을 준비하던 1922년 1월 5일 ... ...
손바닥 방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MPEG-2보다 3-4배 압축률을 높였던 것이다. 선명한 음질과 화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면서
다시
도입 논의가 고개를 들었다. DMB란 새로운 용어가 생겨난 것도 이처럼 멀티미디어적인 ... 이해못할 일은 아니다.한편 위성 DMB는 위성방송의 한종류로 생각하면 된다. 위성 DMB는
다시
위성안테나를 통해 직접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교수는 “위로 던져올린 물체가 중력에 의해 올라갔다
다시
떨어져 땅에 다다를 때까지 가만히 있을 수 없듯 중력에 ... 팽창하고 있다고 했다. 문제는 앞으로 팽창을 멈추고
다시
수축할 것인가, 아니면 팽창을 계속할 것인가다. 최근 ... 그 팽창속도는 점점 줄어들었다. 그런데 지금의 우주는
다시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막아주기 때문”이라고 말한다.그렇다면 햇빛이 강하지 않은 곳으로 이동한 인류는 왜
다시
옅은 피부색으로 돌아갔을까. 비타민 D 때문이다. 자외선은 두얼굴을 하고 있다. 엽산에게는 파괴자이지만 비타민 D에게는 창조자다. 비타민 D는 콜레스테롤에서 만들어지는데 이 과정을 자외선이 촉진하기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원래의 산과 염기로 분해된다 즉 KCN+H₂O→KOH+HCN
다시
말하면 시안화칼륨에 물이 가해져 그것이 분해되는 ... 가수분해된 결과 말토스(맥아당)가 되고, 이 말토스는
다시
말타아제의 접촉작용으로 가수분해, 포도당으로 변해 ... 따라서 일정한 진폭을 가진 진동이 생길 것이다 그 후
다시
다른 ... ...
최첨단 시스템 장착된 2004년 렉서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석유 천연가스 석탄을 원료로 한다 이들로부터 분자량이 작은 원료(단위체)를 합성하고
다시
이를 고분자화해 플라스틱재료를 만든다포유류 해우목 해우과에 속하는 종류로 대서양에 ... 연소가스가 만들어지는데, 이 연소가스로 터빈을 구동시키고 터빈을 거쳐 나온 가스를
다시
추력용 노즐을 ... ...
'생물의 다살이' 낸 강원대 권오길 교수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권 교수는 결국 두눈에 이상이 생겨 얼마전 수술까지 받았다. 하지만 과학의 발전이
다시
두눈을 멀쩡하게 돌려놓았기 때문에 개의치 않는다고 한다. 지금도 자신의 홈페이지를 찾은 사람들이 게시판에 남긴 글에 직접 일일이 답글을 단다.그의 홈페이지에는 새로 발견한 달팽이의 이름을 묻는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