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4,59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인간의 혈액형은 400가지 이상
과학동아
l
199307
수 없는 치료행위로밖에 인정되지 않았다.진정한 의미의 현대적 수혈이 시작된 것은 20
세기
에 이르러서였다. 1900년 오스트리아 병리학자 카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는 어떤 사람의 혈청이 다른 사람의 적혈구를 응집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에 따라 사람의 혈액형을 A형 B형 C형(훗날 ... ...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21
세기
미래상
과학동아
l
199307
인공조경을 배제하고 자연 그대로의 정경을 만들어 놓았다.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21
세기
의 미래상은 무지개터널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터널 전체가 삼각형 이중거울로 만들어진 이 곳은 이중거울 속에 학 파도 무지개 등을 광섬유로 만들어 넣어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했다. 이중거울의 특징은 ...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
과학동아
l
199307
가깝고 7월 상순에 가장 멀어지게 된다. 태양과 지구 사이의 최초의 거리측정은 기원전 3
세기
경 그리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 측정했다.현재 국제천문연맹(IAU)은 지구와 태양의 평균거리를 1억 4천9백59만 7천6백70 km로 확정,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이 길이를 1천문단위 (1AU ... ...
소백산천문대 관측계기로 살펴본 초신성폭발의 의미
과학동아
l
199306
중성자별을 남긴다. 중성자별은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가장 무거운 물체다. 11
세기
에 관측된 초신성 폭발인 게성운 잔해에는 중성자별이 형성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망원경으로 살피면 아직도 폭발의 여진으로 바깥 부분은 계속 팽창하고 있다.질량이 태양보다 30배 이상 무거운 별들은 ... ...
산업 디자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06
따라 결정된다는 사실에 주목한 미국의 건축가 호레이쇼 그레노(Horatio Greenough)는 이미 19
세기
중반에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사물의 형태적인 특성은 곧 어떤 기능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주는 증거이며, 아름다운 형태는 그와 같은 기능이 완벽하게 발휘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약속이다."사물의 형태는 ... ...
화학- 같은 원자끼리의 결합 어떻게 가능하가
과학동아
l
199306
가능해진다. 어떻게 같은 원소간의 결합이 가능할까? 19
세기
의 위대한 과학발전에 이어, 20
세기
로 접어들면서 화학은 이론적으로나 실험적으로 현저하게 발전하였다. 루이스에 이르러 두 개의 원자는 전자의 이동에 의하여 양이온과 음이온 간의 결합뿐만 아니라 전자의 공유에 의해서도 결합한다는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06
상대성이론, 광양자가설 등으로 20
세기
과학계를 대표하는 알버트 아인슈타인. 그를 빼놓고는 현대물리학을 논할 수 없을 정도로 아인슈타인의 존재는 크 ... 로 남아있을 듯하다. 어찌됐건 살아서나 죽어서나 이토록 화제를 불러모으는 아인슈타인이 20
세기
의 '스타'임에는 분명한 듯하다 ... ...
박테리아 이용 조각상 파손 막는다
과학동아
l
199306
석회암의 막을 만듦으로써 조각상 등을 보존한다는 독특한 연구를 진행중이다.과거 수
세기
에 걸쳐서 프랑스의 아르시동굴 벽을 덮은 석회질의 돌은 물에 젖지 않는 성질 때문에 널리 알려져 있었다. 또 보통이라면 침투된 물에 의해 석회암이 녹아 천정에 배어나와 아래로 떨어지는 게 정상이다. ... ...
나일 삼각주 침강 속도 1년에 약 2.6㎜
과학동아
l
199306
백년전의 것으로 연대 판명된 도기 조각이 지금은 9.4m 깊이에 파묻혀 있으므로 삼각주는 1
세기
당 약 26cm, 1년에 약 2.6mm씩 가라앉아 왔다는 이야기가 된다. 이는 지금까지 측정된 수치보다 훨씬 빠른 속도다.이 지역은 지하수의 염수화와 바닷물 범람으로 위협받고 있는데, 이는 실상 세계 삼각주 지대 ... ...
최초 비행기 모형 열대 식물 씨앗 본떴다
과학동아
l
199306
자연 속에서 배우며 자연의 혜택을 받고 있는 보잘것 없는 지적 동물임에 불과할 뿐이다.1
세기
의 비행기 역사오토 릴리엔탈(Otto Lilienthal)이 수백m의 공중활주에 처음으로 성공한 것은 1891년. 그러나 그는 1896년에 공중비행을 시도하다가 48세의 젊은 나이로 뜻밖의 치명적 사고를 당했다. 그로부터 2년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