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뉴스
"
융합
"(으)로 총 3,978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소재 개발하려면 ‘이것’부터 보세요
2014.09.19
35억 원을 지원한 데 이어 2022년까지 연간 100억~120억 원을 투입한다. 김 교수는 두 소재를
융합
한 경계면이 중요하다는 의미에서 ‘하이브리드(Hybrid)’를 붙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라는 용어도 직접 고안했다. ●1만 번 충·방전 가능한 ‘슈퍼 축전기’ 개발 연구단은 출범 1년 만에 ... ...
음속 20배 우주쓰레기 2만3000개 피하는 법
2014.09.19
분석실이 생겼다. 카리스마는 항우연이 자체 개발한 우주 파편 분석 프로그램. 김해동 IT
융합
기술팀장과 관제요원 2명이 카리스마를 전담하고 있다. 김 팀장은 “우주 파편은 초속 7.9㎞가 넘는 어마어마한 속도로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며 “손톱만한 파편에 부딪혀도 값비싼 인공위성이 한순간에 ... ...
지금부터 한달 동안 전국은 달 축제
2014.09.18
관한 과학 이야기를 들려 주고, 이어서 미술, 문학, 음악 속에 등장하는 달을 소재로 한
융합
강연이 펼쳐진다. 강연 뒤에는 관측 행사도 마련됐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토성-달 엄폐 현상’이 나타나는 28일과 개기 월식이 일어나는 10월 8일에는 국립중앙과학관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관측 ... ...
[동아쟁론] 과학교육 홀대 논란
동아일보
l
2014.09.12
인문·사회 교과를 소홀히 하는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것이다.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
융합
인재는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고루 갖추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이과 통합이 문과와 이과 등 계열을 폐지하고 모든 학생이 동일한 과목들을 똑같이 이수하는 획일적 교육으로 ... ...
과학의 향기, 예술의 향기를 만나다
2014.09.05
‘감동의 크기’를 정량화한다는 게 기본 아이디어다. 대덕연구단지에 과학과 예술의
융합
바람이 불고 있다. 몇 년 전 시작된 이 바람은 최근 하나둘 결실을 맺고 있다. ● 뇌파로 아이디어 주고받아 김 센터장은 뇌 전문가다. 뇌에서 발생하는 자기 신호를 측정해 뇌 상태를 확인하는 뇌자도 ... ...
악명 높은 ‘프랑켄 푸드’가 식량난 해결할까
2014.08.31
고세균으로 분리되는 미스터리한 사건을 조명하며 생물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을
융합
한 그만의 답을 내놓는다. 2부의 주제는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생명의 미래’다. 합성생물학은 20세기까지 진행돼 오던 단순 교배나 유전자 조작의 단계를 넘어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21세기 생물학으로 ... ...
전기 대신 열로 작동하는 차세대 메모리소자
2014.08.27
작동하는 차세대 메모리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스핀
융합
연구센터 최경민, 민병철 연구원은 미국 일리노이대 데이비드 카힐 교수팀과 공동으로 전기가 아닌 열로 ‘나노자석’을 움직여 초고속 메모리소자를 구동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아주 ... ...
100원 크기 칩으로 10중 추돌 막는다
2014.08.26
200Km의 고속 이동 중에도 차량 간 연락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오현서 ETRI 자동차IT
융합
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이번에 통신 칩은 고속 인증 및 암호화 기술이 탁월하고 도심에서 통신 성능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앞으로 이 칩을 내비게이션이나 스마트폰 등과 ... ...
총천연색 AMOLED 대량 생산 비법
2014.08.25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AP시스템은 기존 주력장비인 레이저 열처리 장비를 본 기술과
융합
한 단일 공정의 폴리실리콘 막 형성 장비를 개발할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까지 장비 개발과 테스트를 마치고 이후 디스플레이 제조사와 협력해 대형 기판용 양산장비를 개발해 2016년까지 시장에 진입할 ... ...
반도체 두께가 겨우 원자 몇 개?
2014.08.24
수직면에 단원자층의 그래핀을 전극으로 사용했다. - 고려대 제공 이철호 고려대 KU-KIST
융합
대학원 교수와 김필립 미국 하버드대 물리학과 교수팀이 반도체의 접합면 두께를 줄여 고효율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p-n 접합’은 전기적 성질이 서로 다른 두 반도체 물질을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