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52건 검색되었습니다.
빠르게 움직이는 혈액 '순간포착'...고해상도 광학현미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세포
영역에서는 공간분해능이 높은 진폭 패턴을 빛(정현파)을 사용했다. 그 결과 미세
세포
구조와 주변 유체의 움직임을 마치 순간적으로 ‘얼린’ 것처럼 처음으로 한 화면에서 동시에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박 교수는 “미세 유로 채널 연구나, 높은 시간분해능이 필요한 칼슘 신호 전달 등 생명, ... ...
전이성 대장암 표적항암제 한계 극복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낮춘다”고 설명했다. 박 소장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암
세포
가 아닌 주변 미세환경
세포
를 통해 암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제네틱스’ 5월 25일자에 발표됐다. 함께 연구에 참여한 조용범(왼쪽) 삼성서울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와 ... ...
각막신경 손상으로 생긴 안구건조증 레이저로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결과 손상된 말초신경계가 재생되는 최적의 광조사 조건을 찾아냈다. 이 과정에서 신경
세포
재생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 형태학적 정보 분석법을 선별하고 적용했다. 정의헌 교수는 “이번 연구는 빛을 이용해 손상된 말초신경계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며 ... ...
국내 개발 코로나 치료제·백신 영장류 실험으로 효능 일부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실험동물 모델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이날 밝혔다. 햄스터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
에 감염되기 위해 활용하는 ‘관문’인 수용체단백질 ‘스파이크’의 서열이 인간과 비슷한 동물이다. 이 수용체가 많이 만들어지는 장기인 폐와 소장을 중심으로 감염 증상이 확인돼 코로나19 실험동물로 ... ...
"혈액검사로 노인 우울증 예측할 길 열린다"
연합뉴스
l
2020.08.18
비용 부담이 적고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오대종 교수는 "적혈구처럼 피를 구성하는
세포
의 변화가 어떤 기전을 통해 우울증을 유발하는지 후속 연구를 통해 밝혀야 한다"며 "일반혈액검사를 실제 의료 현장에서 우울증 진단 및 예측에 직접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고 ... ...
"방역 통제 어려운 상황...서울·경기 의료기관 1주일 내 포화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때 생존하는 시간이 습도와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 습도와 온도가 높을 경우 바이러스가
세포
밖에 생존해 있을 가능성이 줄어든다. 최원석 교수는 “여름철 감기에 잘 안 걸리는 것도 동일한 원리”라며 “(침방울이 튀는) 직접전파에서는 이런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을 수 있는데, 여름에는 표면을 ... ...
[의학바이오게시판] 프로톡스, 보툴리놈 독소제제 수출용 품목허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9988점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9988원의 기부금을 적립한다. ■엠디뮨은 지난 11일 ‘
세포
유래 베지클 제조방법’이 보건신기술(NET) 인증을 획득했다고 14일 밝혔다. NET 인증은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제도로 국내 기업 및 연구기관, 대학 등이 국내 최초로 개발한 보건 기술의 발굴, 상용화를 장려하고 ... ...
[백신 업데이트]中 백신 중화항체 형성·안전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유도하는
세포
를 2형 도움T
세포
라고 한다. 이들은 각각 직접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
세포
성 면역 반응’과 항체를 생산해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체액성 면역 반응’을 담당한다. 연구팀은 “아직 연구가 진행중”이라며 “현재 진행중인 임상3상 결과를 통해 보다 긴 시간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 ...
메뚜기떼 습격 막을 길 열렸다..."핵심은 체취"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메뚜기의 더듬이에 있는 ‘추상감각자’라는 감각
세포
를 통해 감지된다. 이 감각
세포
에는 페로몬과 결합하는 OR35라 불리는 수용체가 있는데 이 수용체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화학물질을 만들어 뿌리는 방법이다. 캉 교수는 "이런 방법을 통해 메뚜기가 모여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 ...
[의학바이오게시판] 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 3세대 인공심장 우수센터 지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3세대 인공심장(HVAD) 우수센터 지정을 나타내주는 현판이다. 삼성서울병원 제공 ■삼성서울병원이 지난달 31일 심장뇌혈관병원이 헬스케어기업 메드 ... 개발할 예정이다. 3차원 배양기는 2차원 배양기에 비해 배양 시간이 짧고 균일한 품질의
세포
를 대량생산 할 수 있어 상업화에 적합하다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