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능력
역량
권력
정력
에너지
기력
d라이브러리
"
힘
"(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보존이라고 부른다 전자나 양성자는 페르미온에 속하기 때문에 서로
힘
을 주고받는다 이
힘
을 전기력이라고 부른다 반면 파이 메존(π meson)이나 뉴트리노, 그리고 빛의 입자적 형태인 광자는 서로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보존 그룹에 속한다 따라서 빛으로 이루어진 칼날은 서로 아무리 휘둘러도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있는 서울대 약대 오우택 교수의 설명이다. 고추가 씨를 퍼뜨려 자손을 늘리려면 동물의
힘
을 빌려야 한다. 그런데 포유류는 이빨이 있어 음식을 씹을 때 씨가 으깨져 배설되더라도 싹이 트지 않는다. 게다가 씨가 넓게 퍼지려면 걸어 다니는 포유류보다 날아다니는 조류가 더 좋은 파트너다. 따라서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한국인은 총 6만5479명으로 그 해 전체 사망자의 26.7%에 이른다. 암에 걸리면 치료도
힘
들 뿐 아니라 환자의 고충도 만만치 않다. 암은 주로 항암제로 치료한다. 그런데 최근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해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발됐다. 암세포 중 ‘고형암’(solid tumor)는 수많은 세포가 단단하게 뭉친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있으나, 사장석은 반드시 함유되어 있다 질점 사이에 작용하는
힘
이 반작용의 원리에 따르는 질점계에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질점계의 각운동량은 시간적으로 불변이라는 법칙 골편(骨片)이 없고 해면질 섬유의 망목(網目)을 가진 해면동물 광의로는 규질골편 ... ...
'반 고흐전'의 한국행 비밀을 벗겨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반 고흐 미술관 큐레이터의 입을 통해 들어본다.화가의 의무는 자연에 몰두하고 온
힘
을 다해서 자신의 감정을 작품 속에 쏟아 붓는 것이다. 그래야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그림이 된다. 만일 팔기 위해 그림을 그린다면 그런 목적에 도달할 수 없다. 그건 예술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눈을 속이는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게놈은 인간의 게놈과 98%나 같지만 유인원 유전자를 조작하는데 한계가 있다. 교배도
힘
들어 수십년을 기다려야 실험 결과가 나온다. 박테리아는 게놈이 비교적 단순하지만 몸 크기가 너무 작아 현미경 없이는 관찰할 수 없다. 동물에게 처치를 한 뒤 가능한 한 빨리 결과를 눈으로 확인해야하는 ... ...
과학동아 1월호 특별선물 액정온도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긴 막대 또는 넓은 판처럼 생긴 물질은 액체 상태에서도 분자 사이에 서로 잡아당기는
힘
이 생겨 입자가 규칙적으로 늘어선다. 이처럼 액체(液體)와 고체 결정(結晶)의 특성을 모두 갖는 물질을 ‘액정’(液晶)이라고 한다.액정은 분자가 배열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성질이 나타난다. 긴 막대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삶을 접지도 않고… 당신을 기억하며… 잘할게요. 걱정 말아요.”39.....평생 잊기
힘
든 몇 개의 선이 있다.누구는 그 선을 상처로 간직하고 살지만 누구는 그 선을 더 나은 곳으로 안내하는 생명줄로 받아들이기도 한다. 미술 치료를 병행하면서, 다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내가 그은 몇 개의 선이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불가능하다 엄지 아래에 있는 두틈한 근육인 '엄지맞섬근' 때문에 사람의 엄지는 강한
힘
을 내며 크게 회전할 수 있다운동성을 갖는 단세포 미생물의 일종으로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아디아와 같은 기생성 원생동물은 수인성 전염병의 원인이 된다물이 흐린 정도를 나타내는 탁도의 단위 정수를 거친 ... ...
고흐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척도’와 일치해. 정말 놀랍지?연구팀은‘프로방스의 시골길 야경’처럼 정신적으로
힘
들고 혼란스러웠던 시기의 그림에서만 이런 구불구불한 소용돌이가 발견됐다고 했지. 연구팀은 나에게 정신착란이 일어나 사물이 소용돌이치는 것처럼 보였을 거라고 해. 휘감아 돌며 꿈틀거리는 선이 극도의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