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두리안 ‘ X냄새’가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DOI:10.1073/pnas.1613910113). +더 읽을거리김영석 외 ‘생각이 필요한 식품기능성론’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2004.4)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0404N040‘과학으로 먹는 맛있는 과일’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인간과 똑같이 사고하고 대답할 수 있는 기계가 있다면 그걸 굳이 인간이 아니라고 부를 필요가 있을까. 지금까지의 계산용 소자는 전자가 정보를 매개하는 원리에 기반해 왔다. 전자 대신 전자가 매개한 다른 입자가 정보를 매개하는 소자라면 어쩌면 더 좋은 계산기를 우리에게 줄 수 있지 않을까. ... ...
- [DJ CHO의 롤링수톤] 콜드플레이의 ‘더 사이언티스트’ 감성 충만 과학자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여기던 과학자와 예술가의 공통점을 찾아냈지요.…관찰력이 과학자와 예술가에게 꼭 필요한 것처럼 상상력 역시 그러하다. 세상에는 과학이 논리와 해석으로 뭉쳐 있다고 오해하는 사람이 종종 있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 논리와 해석만으로는 기본 전제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무언가를얻을 수 ... ...
- Part 3. 해저 광구 탐사, 무인잠수정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캐나다 해양과학연구소가 운영하는 ‘로포스(ROPOS)’예요. 정육면체의 몸체에 탐사에 필요한 장비와 로봇팔이 달려 있어요. 몸에 달린 조명을 켜면 캄캄한 심해의 모습을 환하게 볼 수 있고, 그 영상은 고스란히 조종실로 전달되지요.해양생물이 많은 열수분출공 주변을 움직일 땐 과학자들 모두 ... ...
- [도전! 코드마스터] SW와 함께하는 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인공지능은 이제 위에서 말한 기사나 1월 15일자에서 소개한 그림, 작곡 등 ‘창의력’이 필요한 분야까지 넘보고 있어요.실제로 지난해 1월 세계경제포럼에서는 2020년까지 인공지능이 70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차지할 거라고 전망했어요. 올해 1월 말 한국고용정보원 역시, 2025년경 우리나라 취업자 1 ... ...
- [과학뉴스] 왼손잡이, 척수가 결정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 결정하는 것이 뇌가 아니라 척수라는 연구가 나왔다. 독일과 네덜란드 공동연구팀은 ‘어느’ 손잡이가 될지를 결정하는 유전자 ... 기존의 생각을 바꿔야 한다”며 “좌뇌와 우뇌의 비대칭이 언제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콧물로 간편하게 바이러스 감염 진단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채취할 필요 없이 코를 푸는 것만으로 어떤 바이러스 때문에 감기에 걸린 것인지 진단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미국 듀크대 응용유전학정밀의학센터 제프리 긴즈버그 박사팀은 콧물 속의 특정 단백질을 이용하면, 감염된 바이러스의 종류를 알아낼 수 있다고 ‘e바이오메디슨’ 2월 22일자에 ... ...
- [포커스 뉴스] 손톱만한 USB에 세상의 모든 영화를 담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발전은 한계에 달했고, 그보다 작은 세계인 양자메모리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소재가 필요한 상황이다.하인리히 교수는 “홀뮴 원자는 1nm 간격으로 배열해도 서로 영향을 주지 않아 그만큼 원자를 촘촘하게 배열할 수 있어 디지털 정보 저장 밀도를 혁신적으로 높일 수 있다”며 “다음 목표는 홀뮴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했다.그 결과 잠들기 전 전자책을 읽은 사람들은 잠들기까지 10분 이상의 시간이 더 필요했다. 또 수면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가 감소했으며, 깊은 수면으로 알려진 렘(REM)수면 시간이 짧았다. 연구진은 아이패드, 아이폰, 킨들, 누크 컬러 등 전자책의 화면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도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上 플린트, 문명 진화의 일등공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렵채집 활동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인류가 정착생활을 시작하면서, 도구를 만드는 데 필요한 소재 거래가 시작됐다. 폴란드와 벨기에 등 북서유럽과 영국 등에는 기원전 2000년~4000년 사이에 체계적으로 플린트가 채굴된 광산의 흔적이 발견됐다. 이 플린트 광산들은 인류 최초의 광산이었고, ... ...
이전3643653663673683693703713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