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을 구별하는 개의 능력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개는
인간
과 가장 가까운 동물이다. 개를 길러본 사람은 개가 주인의 생각을 이해한다고 느끼기도 한다. 실제로 동물의 행동과 인지능력을 연구하는 과학자 ... 않은 개가 어릴 때부터 사람이 기른 늑대보다 훨씬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 개는
인간
과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타고났다는 뜻이다 ... ...
PART1 실험동물 복지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인간
의 질병 치료에 큰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동물실험을 반대하는 진영에서는
인간
과 마찬가지로 실험동물도 삶에 대한 기본 권리가 있다고 반박한다. 당신은 어느 쪽인가?영국 BBC 방송이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찬반 주장을 정리했다. 텔로미어*염색체 말단에 존재하는 DNA 조각. 세포분열 할 ...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조경상 교수에게 넘길 예정이다.비록 초파리가 우주에 1주일간 머물지만 이 기간은
인간
의 20, 30년 세월에 맞먹는다. 이전에 미국 연구자들은 우주에 갖다온 초파리의 수명이 반으로 줄었다는 사실을 알아낸 적이 있지만, 그 원인을 밝히진 못했다. 앞으로 인류가 우주기지에 오래 살 텐데, 사람의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시대가 열렸다생체(生體)에 미치는 날씨 · 기후의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 생체로서는
인간
· 동물 · 식물이 해당된다 생물 기상학의 개념이 학문으로서 체계를 갖추게 된 것은 1955년 파리 국제생물기상학회의 제1회 총회에서 「생물기상학이란 대기의 물리적 · 화학적 환경 조건이 생체에 미치는 ... ...
PART2 암 발생 20년 전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표적으로 삼는 항체의 끝부분만 취하고, 나머지는 대장균에 사람 유전자를 넣어 합성한
인간
항체를 쓴다. 물론 아예 처음부터 대장균에서 만든 수조가지 항체 가운데 암세포에 잘 듣는 것만 고르는 방법으로 인공항체를 제작하기도 한다. 또 동물 항체 크기를 원래 항체의 20~30분의 1로 줄이면 ... ...
우주실험 임무 걱정 마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카메라 렌즈로 사물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다. 그는 “미지의 세계인
인간
의 인지과정을 탐험한다는 생각으로 연구에 임한다”고 말했다.고 씨의 인공지능 탐험은 한영외고 재학 당시 ‘생각 그 자체란 무엇인가’라는 사춘기 소년의 다소 철학적인 물음에서 시작됐다. 그는 이 ... ...
PART1 개인 맞춤형 암 관리시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암 진료, 암 사업을 모두 수행하는 세계적으로 유일한 기관”이라고 자랑했다. 예를 들어
인간
유두종바이러스(HPV) 때문에 생기는 자궁경부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HPV 검사법 연구, HPV 백신의 임상시험, 자궁경부암 관리사업이 필요한데, 국립암센터에서 이 모든 일을 할 수 있다.국립암센터는 ‘꿈의 ... ...
탐나는 열성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있다. 영국 세인트 앤드류대 피터 프로스트 교수는 지난해 2월 인류학 저널인 ‘진화와
인간
행동’에 유럽인의 머리와 눈 색이 성 선택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연구한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빙하기 말 북부 유럽에서 금발 돌연변이가 처음 출현한 뒤 1만년 내에 금발이 유럽 전역으로 ... ...
셜록 홈즈를 인도와도 맞바꿀 수 없는 까닭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않았는지도 모른다.이 책은 교과서 밖에서 처음으로 만난 교양 과학도서로 기억된다.
인간
의 유전자가 침팬지와 99% 이상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을 때 저자의 혜안에 고개 숙이지 않을 수 없었다. 내게는 진화생물학이나 동물행동학의 재미를 알게 했으며 ‘온 생명’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 ...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어떤 녀석이 ‘까칠이’인지 헷갈리는데 말이다.이 때문에 1960년대 후반부터 과학자들은
인간
의 얼굴 인식은 특별한 능력이고 대뇌에 얼굴 인식을 전담하는 무언가가 있을 거라고 생각해왔다.지금까지 연구된 결과에 따르면 대뇌에는 사람 얼굴만 인식하는 부위가 따로 있다. 1985년 미국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