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황교수는 행사가 끝난 후 기자가 다시 질문하자 자신의 발언을 극구 부인했다. 인간의
세포
를 대상으로 복제술을 적용시켰다는 말이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인지, 그리고 그렇게 해서 만든 배아를 어느 단계까지 발달시켰는지에 대해 황교수는 “그런 실험이 아니다”라며 부인할 뿐 더이상 설명을 ... ...
복제양 돌리 어미와 똑같지 않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돌리는 어미양의 체
세포
와 핵을 제거한 난자를 융합시키는 방법으로 복제됐다. 체
세포
는 난자보다 훨씬 적은 양의 mtDNA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이 섞이면 mtDNA는 대부분 난자로부터 얻어질 것으로 예상했던 것이다. 실제로 돌리의 mtDNA를 조사한 결과 어미양의 흔적은 전혀 없었다. 복제한 9마리의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알코올용액을 사용한다. 요오드 화합물은 미생물의 단백질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세포
를 파괴한다.해열제열은 우리 몸이 세균 감염에 대항하는 한 방법이다. 사람이 위험한 미생물에 감염되면 피로젠이라는 물질이 만들어지는데, 이것이 체온조절기관에 작용해 열을 나게 만든다. 흔히 집에서 ... ...
1. 사랑의 묘약, 냄새와 호르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GnRH를 분비하는 신경
세포
는 뇌의 시상하부와 그 좌우의 후엽에서 발견되는데, 이 신경
세포
들은 본래 태아기에 후각상피, 즉 코가 될 부분에 위치하던 것이 뇌쪽으로 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생식과 관련된 GnRH의 경우 후각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을 개연성이 있다. 칼만신드롬(Kallmann syndrome)을 보이는 ... ...
에이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했다. 그러나 미국 정부는 국립암연구소(NCI)의 로버트 갤러(1937-) 박사가 발견한 ‘사람 T
세포
친화성 바이러스’(HTLV-III)와 같다는 이유로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레이건 행정부는 정부가 에이즈에 대해 냉담하다는 비판을 의식해 갤러 박사를 이용했던 것이다.로버트 갤러는 1979년 레트로바이러스(RNA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임신 5-6개월까지는 태아의 뇌
세포
가 성숙되지 않아서 오감을 느낄 수 없지만 이후에는 뇌
세포
가 충분히 형성돼 태아가 오감을 모두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궁 외부에서 여러가지 다른 환경을 만들었을 때 태아가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면밀하게 관찰해 얻은 결과다. 이 가운데 비교적 활발한 ... ...
간편하고 안전한 라식수술의 원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처 없이 각막내부조직에 레이저를 쪼인 것이므로 상피
세포
층이 치유되는 과정이 필요 없게 된다. 때문에 환지는 통증이 거의 없고 수술 다음날이면 일상 생활이 가능할 정도의 시력을 얻게 된다.라식 수술법은 수술 후 특별한 상처 치유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빠른 시력회복 ... ...
암
세포
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약품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목표는 암
세포
자체를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아무래도 주변의 정상
세포
까지 영향을 미쳐 골치였다. 만일 경기의약센터의 연구가 성공을 거둔다면 이와 같음 부작용이 없는 항암제가 세계 최초로 개발될 것이다. 10년후 획기적인 약제 개발로 '경기'라는 이름이 세계에 널리 ... ...
② 살아있는 약공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메디가 분비한 젖에서 1L당 0.1g 정도의 G-CSF가 포함됐다는 점이 확인됐다.G-CSF는 인체 면역
세포
의 하나인 백혈구가 잘 생성되도록 촉진하는 단백질이다. 이를 이용해 만든 의약품은, 백혈병이나 빈혈과 같은 질병이 생기거나 골수이식·화학요법 과정에서 백혈구가 부족할 때 필수적으로 쓰이고 있다. ... ...
불임 해방과 아기산업의 두 얼굴 시험관아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이를 받아 미리 받아둔 남편의 정자와 시험관에서 수정시켰다. 수정란은 50시간 뒤 8
세포
단계에서 부인의 자궁 속에 넣어졌다. 그리고 9개월 뒤인 1978년 7월 25일, 브라운 부인은 제왕절개를 통해 2.6kg의 예쁜 딸을 낳았다. 세계 최초의 시험관아기(test-tube baby) 루이스 조이 브라운이 탄생한 것이다.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