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식물 종은 약 1만 7200종. 중국 전체 자생식물의 54%에 달하는 양이다. 참고로 우리나라에 보고된 자생 식물 종 수는 약 3500종이다.이 때문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연)은 2007년 윈난 성의 성도인 쿤밍에 해외생물소재허브센터의 중국지부 ‘한-중 생물소재연구센터’를 설치했다. 중국 ... ...
- 7년째 잡히지 않은 77246 위조지폐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만들었나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은 ‘77246 위조지폐’를 모두 동일범의 소행으로 보고 있다. 범인이 위폐를 만드는 데 쓴 5000원권은 1983년 6월 처음 발행되고 2002년 1월 제작이 중단된 ‘다 오천원권’이다. 2002년 6월부터 발행한 ‘라 오천원권’에 비해 위조방지장치가 허술하다. ‘라 ... ...
- 자기 자신에게 휴식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칭찬도 하고, 휴가도 좀 줘. 반성만 하지 말고 즐겁게 해봐. 시험 끝나고 영화도 한 편 보고 그렇게 휴식을 해. 주중에 열심히 공부하고 주말 저녁은 가족과 함께 쉬면서 방에서 뒹굴거리기도 해보렴.” 시험을 치기 전에 “모르는 건 틀려도 좋다. 노력한 만큼만 실력 발휘하자”는 마음가짐으로 ... ...
- 연세대·고려대 수시 전형, 전략적 분석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생각해 추천을 기피하기도 한다. 담임선생님과 수시로 상의해 추천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고 서류를 미리 준비하는 것도 중요하다.영원한 맞수, 연세대와 고려대연세대와 고려대는 영원한 맞수다. 연세대가 의예과와 이공계에서, 고려대는 인문사회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2012 QS ... ...
- [12월] 과동 데스크의 썰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얻고 싶은 과학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아카데믹하고 교과서적인 논문이나 보고서보다는 ‘새롭거나’ ‘일상에서 부딪히거나’ ‘공감할 수 있거나’ ‘미래를 예측하고’ ‘삶을 변화시키는’ 주제의 과학이 아닐까. 1년 동안 많은 청소년 독자들이 수백 개의 과학기사를 편집부에 ...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있다. 실제로 북극 해빙은 기후변화보고서인 ‘정부간기후변화협의체(IPCC) 제4차보고서(2007)’에서 수치모델을 통해 예측했던 것보다 훨씬 빨리 사라지고 있다.북극 대기는 온도가 낮아서 매우 건조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수분이 해양에서 대기로 전달돼 구름을 많이 만든다. 북극해 상공의 구름은 ... ...
- “성공은 ···· 기다림에서 나온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보입니다. 저는 사실 미스터리가 많은 뇌질환에는 다 비신경세포가 관련이 있는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이 단장은 한국에서 중학교를 졸업하기도 전에 미국으로 건너갔다. 웃으며 “중학교 졸업장이 없다”고 말했다. 바로 고등학교로 갔기 때문이다. 시카고대를 졸업한 뒤 콜롬비아대에서 석사, ... ...
- 수학을 사랑한 과학동아리 회장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동안 과학동아리 회장을 맡았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친구들과 과학 관련 기사나 문헌을 보고 함께 공부하고, 직접 실험 주체를 찾아서 실험도 하는 과학동아리 ‘히포크라테스’를 만들었다. 뜻이 맞는 친구들이 모여서 만든 동아리라 설레기도 했지만 회장으로서 동아리를 이끌어 나가는 것은 결코 ... ...
- 변 신하고 싶어? 헷갈리나의 패션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목걸이, 귀고리 같은 액세서리가 대표적이지.Step 4 아바타연구소옷, 이제는 입어 보고 주문하자!이제 상점에 가서 지금까지 생각한 것과 같은 옷을 고르면 되겠군요.허리선이 위쪽에 있고 상의 색은 밝으며 하의 색은 어두운 원피스 말이지? 그런 옷을 찾았다고 하자. 과연 사이즈가 딱 맞을까? ... ...
- 손으로 말해요! 수화수학동아 l2012년 12호
- 낯설 수도 있지만, 수화는 이 세상을 이루는 또 하나의 언어다. 간단한 수화도 배워 보고, 수화 속 수학의 원리도 알아보자.수화와 수학은 기호의 언어수화란, 소리가 아닌 손짓을 이용해 뜻을 전달하는 언어다. 청각장애인을 위해 수화가 개발된 건 1620년 스페인의 농교육자 J.P.보넷에 의해서다. ... ...
이전3643653663673683693703713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