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밝혔다. 또 일본 국립방재과학기술연구소(NIED)는 지하 5km 지점을 진원으로 지목했다. 여 교수는 “기관마다 발표하는 진원의 깊이가 다른 이유는 지각이 지진파를 전파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모델을 다르게 썼기 때문”이라며 “연구단에서는 지진파 자료와 물리탐사, 인공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 ...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연구팀은 20세, 40세, 60세, 80세를 기준으로 해마 한 개당 신생 뉴런의 수를 분석했다. 선 교수는 “결국 어느 구간을 어떤 크기로 분석했는지에 따라 결과에 대한 해석이 달라진 셈”이라며 “두 연구 모두 얇게 자른 뇌 조직에 항체 마커를 이용해 간접적으로 관찰한 만큼 한계가 있을 수밖에 ... ...
- [Culture] 세상의 모든 사이비과학에 경고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소재들이다. 주인공인 고혜람은 대학 시절 교수님을 모델로 삼았다. 안 씨가 기억하는 교수님은 유사과학 비판에 수업 시간의 대부분을 할애할 만큼 유사과학 타파에 열정적이었다.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해 선인장을 구입하는 행태를 꼬집으며, 오류투성이인 유사과학을 등에 업은 광고들이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모아 치료에 활용하는 ‘콤비네이션 세러피(Combination Therapy)’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박 교수는 “피부, 근육, 뼈 등 신체의 각 부분에 가장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는 에너지의 크기는 모두 다르다”며 “각각의 장점을 모으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Issue] 라이징 스타에서 스테디셀러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중국 삼국시대. 무예와 시, 무술이 모두 출중하기로 유명한 마 씨 5형제가 살았다. 넷째인 마량(馬良)은 그 중에서도 단연 으뜸이었다. 마량 ...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 ...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가진 망간 촉매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습니다. 현재 남기태 교수팀은 망간을 기반으로 한 망간 산화나노입자를 합성하고, 이 입자로 물을 분해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망간 산화나노입자는 일반 망간산화물에 비해 300mV(밀리볼트) 정도 더 낮은 전압에서도 물을 쉽게 ... ...
- [Culture] 물 분자와 기름의 자리 교체 ‘치느님’ 프라이드 치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6월에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온 동네가 함성소리로 뒤덮일 것 같네요. 우리나라는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16강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데요. 온 국민이 단합해 응원하면 선수들도 더욱 힘을 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축구나 야구 등 스포츠 경기를 보면서 힘찬 응원을 할때는 ‘치맥’이 필수죠. 월드 ... ...
- [Culture] 우리 개가 꼬리를 물어뜯으며 빙빙 돌아요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2012년 고토 아키코 일본 도쿄대 수의학및동물행동학연구실 교수는 꼬리잡기 행동의 위험인자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일본에서 많이 키우는 견종 중 시바에서 강박장애 발생률이 가장 높았고, 특히 반려동물 판매점에서 분양을 받은 경우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수 밖에 없다. 평생 미생물과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저자인 김응빈 연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책을 통해 미생물에 대한 오해를 풀고, 함께 사는 즐거움을 찾아보라고 말한다. 다만 미생물도 좋은 미생물과 나쁜 미생물이 있다. 나쁜 미생물도 천성부터 못돼먹은 놈은 아니다. 책의 1장에서 미생물은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키워드에 맞춰서 인문학자인 도정일 경희대 명예교수와 과학자인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의 대화를 정리한 ‘대담’이라는 책을 읽고 거기서 느낀 점을 자기소개서에 썼다. 초등학교 때부터 꿈을 갖고 조금씩 미래를 준비해 온 그에게 가장 힘들었던 시간은 수능 시험 일주일 뒤에 치른 ... ...
이전3643653663673683693703713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