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체
전부
전액
전반
모든
토탈
합계
d라이브러리
"
전체
"(으)로 총 5,592건 검색되었습니다.
1. 20년 후 한국인 체형
과학동아
l
199910
. 따라서 키가 서구형에 가까워지고 있지만 몸무게는 별다른 변화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전체
적인 체격은 서양인과 다른 형태로 성장될 것이다.그런데 키와 몸무게는 사람의 외형적인 조건을 알려주는 값일 뿐 건강한 정도에 대해서는 별다른 정보를 주지 못한다. 키가 크거나 몸무게가 많이 ... ...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910
년까지 인간 유전자지도를 완성하겠다고 발표했다. 1996년 말 인간게놈프로젝트는 유전자
전체
의 16%에 해당하는 1만6천3백54개의 위치를 밝혀냈다. 이 안에는 생체시계유전자, 비만 유전자, 골수암 유전자 등이 들어있다.이를 바탕으로 1999년 9월 2일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는 인류 역사상 최초의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10
것처럼 광구에서는 밝게 솟아오른 부분과 가라앉으면서 식어 검게 보이는 부분이 생겨
전체
적으로 쌀알무늬를 만든다. 무늬 하나의 지름은 1천km 정도로 한반도보다 크며 이것이 내뿜는 에너지는 수소폭탄 1천개의 위력과 맞먹는다. 쌀알무늬의 수명은 약 8분 정도이며 태양 표면에 약 4백만개쯤 있는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10
된다. 포크는 동전에 비해 무겁기 때문에 2개의 포크를 동전쪽으로 향하게 만들면
전체
의 무게중심을 컵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균형을 잡을 수 있다는 말이다. 안정감을 확인하고 싶으면 유리잔에 물을 따라서 들어올리고 물을 마셔본다. 10원짜리 보다는 100원짜리가 잘 되고 가능한 한 크고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09
해수면에서 1기압인 대기압은 해발 5천5백m에서는 절반으로 떨어진다. 당연히 대기
전체
에 퍼져있는 산소의 양도 해수면의 절반밖에 안 된다. 때문에 부족한 산소를 받아들이기 위해 숨을 가쁘게 쉰다. 또한 부족한 산소를 가지고 온몸에 보내기 위해 심장이 빨리 뛴다. 두세발짝만 떼어도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09
1밖에 안된다.1. 세레스는 지름9백60㎞로 지금까지 발견된 소행성 중 가장 크며 소행성
전체
질량의 30%를 차지한다.2. 베스타는 길이 4백80㎞로 세번째로 큰 소행성이지만 표면 반사율이 높아 소행성 중 가장 밝게 보인다. 이 소행성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고있다면 망원경 없이 맨눈으로도 찾을 수 있다 ... ...
컴퓨터 화면의 꽃 스크린세이버
과학동아
l
199909
보드에 남는다.이 프로그램은 스크린세이버와 상관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보드
전체
가 스크린세이버로 동작한다. 컴퓨터가 쉬고 있을 때 화면에 나타나 일정과 각종 메모를 보여주는 것이다. 물론 필요할 때 바로 불러내는 것도 가능하다. 트레이에 보면 압정 아이콘이 있는데 이것을 마우스로 ... ...
외줄 타는 사람은 왜 긴 막대를 가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199909
내부에서 바퀴형태의 기계장치인 리액션 휠(reaction wheel)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켜 우주선
전체
의 각운동량에 변화를 준다. 우주선 입장에서는 각운동량이 보존돼야 하므로 우주선은 회전을 한다. 즉 원하는 곳으로의 방향전환이 가능해진다. 한편 태양계에서도 각운동량 보존의 법칙이 존재한다. ... ...
① 보다 맛있고 영양가 높게
과학동아
l
199909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수정란이 점차 분열을 거듭할수록 성장유전자는 돼지
전체
세포의 절반 정도에만 포함될 뿐이다.이에 비해 수정란의 정자핵이나 난자핵 어느 한쪽에 성장유전자를 넣는다면 문제가 없다. 수정란이 분열되기 이전의 ‘원본’ 자체가 성장유전자를 지녔기 때문이다. ... ...
99대한민국 과학축전
과학동아
l
199909
43개 단체가 참여해 1백58개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체험위주의 실험 비중을 높인 탓에
전체
프로그램의 70% 이상이 관람객이 직접 해보고, 만들어 가져가는 것으로 이뤄졌다.대한민국과학축전은 3회째이지만 전국 규모의 과학행사를 따지자면 올해로 7년째이다. 93년 치러진 처음의 행사가 교육부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