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09
서늘하기가 에어컨을 틀어놓은 것같다해서 자연에어컨이란 별칭이 붙은 봉래폭포
아래
의 풍혈(風穴)은 울릉도 내의 몇 개의 풍혈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 그러나 그 성인(成因)에 대해서는 탐사단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렸다.오후 일정은 울릉군 교육청에서 이 지역 토박이이자 향토사학자인 ... ...
실리콘밸리의 아침
과학동아
l
199109
생태계가 형성된 것이다.그러나 지구상에 낙원은 없듯이 실리콘밸리에도 그 첨단문화
아래
에는 엄연한 갈등구조가 놓여 있다. 국제적인 스파이조직, 뿌리 뽑히지 않는 암시장, 미소간의 소비적인 감시체계 등 여러가지 문제가 산적해 있다. 특히 항시 매스컴을 타는 10% 미만 고급기술자의 그늘에는 ... ...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09
실망만을 안겨준다. 이것은 자갈들로 가득찬 비포장도로가 여름 한낮의 높은 태양
아래
서는 그다지 거칠어 보이지 않으나 해가 지고 밤이 돼 행인의 손전등이나 자동차의 헤드라이트가 길에 비스듬히 비치면 길에 널려진 돌들의 그림자가 길게 늘어져 입체적으로 잘보이는 경우와 마찬가지다. 즉 ... ...
세계 기후모형 다시 제작해야 식물성 플랑크톤이 해수 온도를 높인다
과학동아
l
199109
1월과 9월에 각각 달리 나타났다. 그 이유는…바다에서 물결이 일렁일 때 수면
아래
에서는 무수히 많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너울너울 춤을 춘다. 그들은 파도가 출렁거리는대로 움직이면서 영양물질과 햇빛을 조합, 바다속의 생물들이 일용할 식량을 만들어낸다.동시에 이 식물성 플랑크톤은 지구의 ... ...
스웨덴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109
본 뒤 바로 다음날 김포를 출발, 모두 극도로 지쳐 있었으나 여러가지 어려운 상황
아래
서도 최선을 다해 우리의 참 실력을 보여 주었다.IMO의 한 문항당 배점은 7점인데 모두 여섯문제(개인별 만점 42점 )가 주어진다. 일반적으로 대표학생 여섯명의 점수를 합해 국가별(만점 2백52점) 순위를 정하는데 ... ...
거꾸로 매달린 허영심 많은 왕비
과학동아
l
199109
가장 가까운 1등성 카펠라는 북동쪽 하늘에 보이기 시작했고 북두칠성은 그 반대편에서
아래
로 잠기고 있다.이달의 행성금성/사자자리에 있게 되는데 초순경에는 아침 여명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하순경에는 -4.3등급의 밝기로 보일 것이다.화성/처녀자리에서 2등급으로 보인다. 중순 이후에는 저녁 ... ...
그리스
과학동아
l
199109
어우러진 도시다. 이 도시에서 이방인에게 가장 인상적인 것은 아무래도 파란 하늘
아래
눈부시게 빛나고 있는 파르테논신전일 것이다. B. C. 5세기에 페르시아전쟁의 승리를 기념해 만든 이 신전은 인간의 시각적 착각을 이용, 가장 완벽한 아름다음을 선사하고 있다.우선 이 신전의 기둥들은 ... ...
지구의 나이, 지금 몇 살인가?
과학동아
l
199109
판구조론에 따르면 바다 밑 퇴적물에 들어있는 소금은 해구(海構)에서 다른 판(板)
아래
로 섭입(攝入)돼 결국에는 암석의 성분이 돼 버린다고 한다. 나트륨 외에도 바다의 나이를 산출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이 무수히 많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졸리의 계산치는 그 신뢰성을 잃게 되었다. 결국 졸리가 ... ...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
과학동아
l
199109
무려 2천1m.구조는 한 변이 1백m(폭 20m)의 정삼각형 평면이 하나의 모듈로, 위에서부터
아래
로 높이에 따라 평면적으로 삼각형이 증식하도록 돼있다. 삼각형의 중심부분은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초고속 엘리베이터가 지나고, 높이 80m 즉 20층마다 거대한 들보가 지나가게 된다.구조는 기둥이 1층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09
아래
로까지 관이 죽 연결되어 있다면 뜨거운 공기가 위로 올라가는 원리에 따라
아래
쪽의 공기가 위로 빨려 올라가야 합니다.사회 자연에어컨(풍혈)의 원리에 대해서는 단열팽창론과 기압경도차론이 서로 맞서고 있군요. 그런데 체감온도말고 실제로 우리가 온도계로 풍혈입구의 온도를 재보지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