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테마
제목
화제
과제
테에마
이야깃거리
논제
뉴스
"
주제
"(으)로 총 4,112건 검색되었습니다.
밀레가 ‘모나리자’를 그렸다면 어떤 모습일까?
2014.12.15
명암대비 효과란 빛이 비치는 곳과 어두운 곳의 대비를 뚜렷하게 해서 사물이나
주제
를 강조하는 표현 기법이다. 연구진은 한 점을 중심으로 주변 픽셀의 색 변화를 분석해 화풍에 따라 그림의 윤곽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알아봤다. 한 점을 중심으로 주변 픽셀의 색 차이가 별로 없으면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생명과학/의학 문헌 데이터베이스인 퍼브메드(PubMed)를 보면 지난 50년 동안 알코올(술)을
주제
로 한 연구 65만8610건 가운데 숙취 연구는 0.1%도 안 되는 406건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럼에도 소수의 과학자들이 숙취를 연구했고 그 결과 몇 가지 사실들이 밝혀졌다. 먼저 숙취 증상이 가장 심할 때는 ... ...
[과학동아카페 16] 인터스텔라(Interstellar)
동아사이언스
l
2014.12.15
지난 13일(토) 오후 2시 서울 용산구 동아사이언스 본사에서 열렸던 제16회 과학동아카페
주제
는 '인터스텔라'입니다. 박석재 과학동아 명예천문대장(전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현 연구위원)과 송용선 한국천문연구원 이론천문연구센터 연구원이 상대성이론과 웜홀을 중심으로 영화 ... ...
스티븐 호킹, 그리고 ‘만물의 이론(The Theory of Everything)’
과학동아
l
2014.12.12
이론을 두 이론이 양립할 수 없는 근거로 삼았다. 유학 시절 호킹 복사를 첫 논문
주제
로 삼았던 이필진 고등과학원 교수는 “비록 호킹 박사의 주장은 틀렸지만 후배 학자들에게 일반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양립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던졌다는 점은 중요한 ... ...
거미 발목 모방한 ‘거미센서’ 개발
2014.12.11
사망한 고(故) 서갑양 서울대 교수의 제자로, 서 교수가 세상을 뜨기 전까지 이
주제
로 함께 연구해왔다. 최 교수는 “이 연구는 서 교수가 사망하기 전까지 주도했던 연구”라며 “논문 저자들이 이 논문을 서 교수에게 헌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 ...
우리 몸에 이로운 미생물이 있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4.12.10
천종식 교수는 서울 정독도서관에서 ‘융합 기술로 바라본 미생물의 세계’라는
주제
로 강연한다. 천 교수는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과는 달리 우리 몸에 긍정적 역할을 하는 정상균총(Normal flora)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또 그 동안 연구되지 못한 자연계와 인체 미생물에 대한 최신 연구 기법을 ... ...
뮤지컬의 감동 속에 숨어 있는 로봇 기술
2014.12.07
사회는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할까?” 과학자나 사회학자가 고민해야 할 법한 이
주제
가 전국민적인 화두가 된 것은 2005년 터진 황우석 사태가 발단이 됐다. 줄기세포를 둘러싼 논문 조작 사건이 터지면서 우리 사회는 사람들의 염원이 어떻게 과학자를 우상화 하고 과학기술을 왜곡하는지 ... ...
‘전국학생극지논술공모전’ 대상에 금재찬 군
2014.12.05
기회가 주어지는 특별상(극지연구소장상)은 ‘극지, 화이트 다이아몬드를 찾아서’라는
주제
로 논술한 강우림(목포 애향중 3학년) 군이 차지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http://mini.itamtam.co.kr/polar2014)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우리 몸속 장기를 인공으로 만든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4.12.03
교수는 서울 정독도서관에서 ‘미래에는 인공장기가 어떻게 만들어 질까요?’라는
주제
로 강연한다. 조 교수는 기능이 상실된 조직이나 장기의 복원을 돕는 조직공학의 3요소를 소개하고, 혁신적 기술로 평가되는 3차원 세포 프린팅 기술을 강연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송천초등학교 김종철 ... ...
“과학언론, 대중 및 과학계와 건강하게 공생해야”
2014.11.28
흥미 위주이거나 지나치게 계몽적이어서 정보 소비자의 불만을 사고 있으며, 다루는
주제
의 쏠림 현상도 극복해야 할 과제”라면서 “과학계 역시 대중 및 언론과의 소통에 대한 무관심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한국과학기자협회는 토론회에 이어 창립 30주년 기념 ‘과학언론인의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