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솔라 오비터’ , 역대 가장 가까이서 태양을 찍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이글거리는 태양에서 점들이 무수히 빛나고 있다. 태양 표면에서 발생하는 작은 폭발들이다. 유럽우주국(ESA)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7월 16일 태양 극지 탐사선 ‘솔라 오비터(Solar Orbiter)’가 촬영한 최근접 태양 이미지를 공개했다. 이미지는 2월 9일 발사한 솔라 오비터가 5월 30일 근일점(태양 표 ... ...
- SNS에서 '핫'한 MBTI의 진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안어려워요‘ENTP인 사람들 모여라~!’ ‘MBTI로 알아본 아이돌 그룹의 성격유형.’최근 몇 달간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MBTI’ 검사가 인기몰이 중이다. 초록색 검색창에 MBTI를 검색하면 무료로 성격유형을 검사할 수 있다는 사이트가 줄줄이 뜰 정도다. 그런데 이 모든 사이트가 ... ...
- [인포그래픽] 화성, 어디까지 가봤니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화성을 향한 인류의 도전은 1960년 옛 소련이 ‘마스닉 1호’를 발사하면서 시작됐다. 마스닉 1호는 로켓 문제로 대기권을 벗어나지 못해 실패했지만, 4년 뒤 미국의 ‘마리너 4호’는 중력도움(flyby·행성의 중력을 이용하는 근접비행)에 처음 성공하며 냉전에서 촉발된 우주 탐사 경쟁에 불을 붙였다 ... ...
- CHINA┃‘우주의 질문’에 답하러 간다.. 창정 5호에 실은 첫 성공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편집자 주. 중국은 2020년 7월 23일 자국의 화성탐사선 ‘톈원-1’을 발사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중국 신화통신은 이날 12시 41분 하이난성 원창우주발사센터에서 ‘톈원-1’이 창정 5호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아래 기사는 ‘톈원-1’ 발사 전에 제작됐음을 알려드립니다. ‘中国的 ... ...
- 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4월 30일, 미술품 경매로 유명한 영국 런던 크리스티 경매에 특별한 돌이 경매품으로 나왔다. 공식 명칭은 ‘NWA 12691’, 달 운석이었다. 무게는 약 13.5kg. 1960년대 미국의 아폴로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우주비행사가 지구로 가져온 월석(月石)보다 월등히 크다. 이 운석은 2년 전 유성우와 함께 사하라사 ... ...
- [기초과학의 힘] RNA 연구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완벽한 유전체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꽤어려워요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민낯’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숙주세포에서 만들어내는 모든 RNA를 찾아낸 것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은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과 협력해 RNA 전사체 지도를 완성했다. 또 바 ... ...
- 수족관 탈출! 바다로 풍덩! 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얏호~, 신난다! 나는 수족관에서 살던 흰고래! 드디어 갑갑한 수조를 떠나 바다로 돌아가게 되었어. 올 봄부터는 아이슬란드의 고래 쉼터에서 살 거야. 잡혔다 바다로 돌아가는 우리들의 이야기를 들어볼래?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수족관 탈출! 바다로 풍덩! 고래Part1. [잡히다] 고래 ... ...
- [갇히다] 수족관 고래들은 어떤 일을 겪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족관에서 살면 폭풍을 만날 일도 없고, 천적도 없는 데다, 밥도 그냥 주니까 살기 편한 것 아니냐고? 절대 아니야. 왜 그런지 하나하나 설명해줄게. ...
- [돌아가다] 고래를 보고 싶다면 바다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족관을 찾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고래를 사육하지도 않을 거고, 고래를 불법으로 잡는 일도 줄어들겠죠! *출처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45m 높이에서 트램펄린에 자동차를 떨어뜨리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 45m 높이에서 트램펄린에 자동차를 떨어뜨리면? 조회수 : 1316만 회채널명 : Mark Rober (구독자 1090만 명)제가 어렸을 적, 우리 동네에선 트램펄린을 ‘방방’이라고 불렀어요. 트램펄린의 탄성을 이용하면 땅에서 뛰는 것보다 훨씬 높게 점프할 수 있어서 ‘방방’ 뛰는 것처럼 느껴지거든요. 몸 ... ...
이전3633643653663673683693703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