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두뇌는 어떻게 작동하나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그림을 그릴 때 느끼는 감정과 같은 것이다. 이와 같이 창의력은 오른쪽 뇌의 기능이다.
신경
과학의 발달은 신비에 싸여있는 뇌를 벗기는데 중요한 공헌을 하고 있다. 즉 기억, 감정, 사고가 모두 뇌의 통제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의 발견은 우리 인간의 행동과 의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 ...
PART 2 기억구조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이외에도 기억의 메키니즘으로서 발생하는 요소가 현재 3가지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는
신경
전달물질의 증가이다. 이에 따라 시냅스에서 신호가 통하기 쉬워지는 현상이 해마에서 발견되었다. 둘째는 전달물질을 받아들이는 수용기의 증가. 세째는 수상돌기의 앞에 붙은 시냅스를 가시라고 ... ...
마늘의 과학 항균작용이 탁월, 과대섭취는 간장장해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마늘이 수면을 일으키는 효과는 알리신이
신경
세포의 인지질(phospholipid)에 작용하여
신경
세포의 흥분을 조절하기 때문이며, 마늘이 배를 따뜻하게 하여 야뇨에 효과적인 것은 아릴신의 유황성분 때문이다. 우리나라 절(寺)에서나 제사에 마늘을 쓰지 않는 것은 마늘이 스태미너식품이기도 하지만 ... ...
기념관 건축 「졸속은 금물이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또한 전통건축의 형태(form)를 구현하려고
신경
을 썼다. 그러나 형태나 조형적인데만
신경
을 썼지, 건축내부설비에는 등한히 한 흔적이 역력하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스타일은 전통건축양식을 따랐으나 각 부분은 철물, 플라스틱 등의 일반적인 건축재료를 사용하여 양식과 재료의 불일치를 ... ...
부탄개스와 프로판개스가 체내에서 알코올화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쓴 도시개스에 극히 미량으로 함유된 펜탄을 대량으로 흡입시킨 실험에서는 중추
신경
억제작용으로 반수의 쥐가 죽어버린 정도다. 지금까지의 연구나 실제로 환자를 다룬 병원에서 LPG에 의한 중독의 예나 개스라이타를 가지고 놀던 어린이가 부탄개스에 중독되어 사망한 예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 ...
진화론의 새학설 유전자 진화론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무지막지하게 많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파리의 두 개의 촉수를 제대로 만들어내기 위해
신경
써야 하는 과일파리의 통제 유전자는 대략 10만 단계의 길이의 달한다. 매우 작은 곤충의 성장을 통제하는데만 해도 그런 막대한 유전자가 10여개 쯤은 있어야 한다. 그러나 과학자들을 더욱 놀라게 한 ... ...
PC의 표준언어, BASIC을 배우자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되도록 피하고 비전문가일지라도 부담없이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내용의 전개에
신경
을 쓸 것이다. BASIC 언어를 제대로 습득한 뒤 다른 고급 언어를 배워도 개념상 큰 차이는 없기 때문에 어느 컴퓨터 언어이든지 한가지라도 철저히 배워 둘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다루고 있는 BASIC 언어는 APPLE ... ...
한국의 자동차공업기술을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대우 기아 등 자동차메이커마다 부품업체에 대해 기술지도와 감독, 경영지원에 크게
신경
쓰고 있는 실정이다.현대자동차의 경우 부품품질관리부를 두고 있는데 총원 1백83명중 반이 넘는 96명이 부품업체에 상주근무를 하면서 품질개선을 독려하고 있다. 또 기아는 일본의 우수한 부품회사 30개사를 ... ...
이공계 대학원 교육에 대해 말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늘이는 상황이다. 연구소는 연구인력의 활용보다는 기술도입이나 기술복제에만
신경
을 쓴다. 좀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대학원을 졸업한 고급인력은 자신의 전문성을 살릴자리가 없다. 이는 재정적 문제와 더불어 연구의욕을 떨어뜨리고 무력감에 빠뜨리는 큰 문제이다.세번째로는 교육제도상의 ... ...
살인도 하는 수면중의 무의식 행동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영향을 받아 무의식상태의 폭력이 나타나는것이라고 말하고 있다.그런데 이들
신경
세포는 인간의 진화과정에서 매우 오래된 부분 즉 골동품같은 세포라는 점이다. 여기에서 유추해 본다면 악몽이나 나이트테러는 조상의 공격성과 관련이 있는 유전적 현상이 아닌가 하는것이다.일찌기 그리스의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