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정찰 궤도 탐사선이 찍은 예술적인 달 사진들을 감상해 보자.LRO가 찍은 가장 예술적인 달 사진은? 달, 얼마나 알고 있을까?지구의 유일한 위성이자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천체인 달. 과학자들은 달이 약 45억년 전 지구로부터 떨어져나간 오래 된 짝꿍이라고 하지만, 사실 달에 대해 풀리지 않은 ... ...
- [생활]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젓가락 두짝이 똑같아요~.”젓가락 외에도 눈과 귀, 손과 발, 쌍둥이 등 우리 주변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똑같이 생긴 물건들이 많다. 이중 수학적으로 똑같은 건 무엇일까? 수학에서 똑같다는 것은 무엇인지, 똑같은 것을 어떻게 표기하는지 알아보자.합동 기호 ≡의 원 ...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세계수학자대회 개막식 취재를 위해 모인 다섯 명의 독자기자들! 개막식이 열린 지난 13일, 독자기자들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촘촘한 일정 속에 열심히 취재에 임했다. 12시간 동안 세계수학자대회장을 종횡무진 누빈 독자기자들의 취재기를 소개한다.09 : 00 세계수학자대회 개막!“세계에서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증명한 행복의 공식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사람들이 순간순간 느끼는 행복의 크기를 예측할 수 있는 ‘행복 방정식’이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팀은 26명의 실험 참가자들에게 여러 가지 상황을 주고, 선택에 따라 돈을 벌거나 잃을 수 있는 의사결정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했다. 그 과정에서 실험 참가자들에게 반복적으 ... ...
- [뉴스 포커스] 세계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한국에 모인 이유는?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지난 8월, 서울세계수학자대회와 함께 또 다른 수학 축제가 우리나라에서 열렸다. 바로 융합수학 학회인 ‘브릿지스 서울 2014’다. 융합수학이란 수학적인 주제를 미술과 건축, 음악, 시와 영화 등의 소재를 이용해서 표현하는 분야로, 브릿지학회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융합수학 학회다. 8월 ... ...
- [생활] 수학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어 본다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최근 친구인지 연인인지 헷갈리는 미묘한 사이를 부르는 ‘썸남썸녀’라는 말이 크게 유행하고 있다. 지금 이 시간에도 상대방이 보낸 애매한 문자메시지 한 통을 붙들고 마음앓이 하고 있을 전국의 썸남썸녀들. 이들을 위한 희소식이 생겼다. 바로 상대방이 쓴 글로 그 사람의 감정을 분석하는 ... ...
- [체험] 잘록한 허리를 가진 일엽쌍곡면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일본 고베 포트타워의 야경은 정말 아름다운 것 같아요. 폴 선배, 저 앤드류 선배랑 같이 사진 찍어 주세요.앤드류 : 폴, 잠깐만! 가방에서 일엽쌍곡면만 좀 꺼내고.폴 : 일엽…, 뭐?앤드류 : 고베 포트타워의 외관이 일엽쌍곡면을 닮았거든. 그래서 하나 챙겨왔지.아밀리 : 우와, 이거 실로 ...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지구물리연구실과 세계보건기구(WHO) 타이숲 에볼라프로젝트 공동연구팀이 ‘사진측량공학 및 원격탐사(PE&RS)’ 저널에 발표한 논문쌀뤼! 쥬마뻴 에볼라(안녕! 내 이름은 에볼라야). 기니에서 프랑스 말을 좀 배웠는데, 이젠 한국어도 좀 배워야겠어. 우리 언제 만나게 될지 모르잖아? 그동안 ... ...
- 필즈상, 금녀의 벽을 허물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벽을 깬 수상자, 변방 출신의 수학자마리암 미르자카니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37, 아래 사진)는 필즈상 분야에서 금녀의 벽을 허문 첫 수상자가 됐다. 이란 출신의 미국 수학자인 그는 이슬람권 여성 수학자 중 처음으로 세계수학자대회 기조강연자로 초청받기도 했다. 그는 “수학을 잘하는 비결은 ...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사진으로 치면 순간포착을 해야 하는데 셔터 스피드가 너무 길어서 지나치게 흔들리는 사진이 나오는 식이다. 단백질 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학자들은 수 년에 걸쳐 단백질 결정을 만들어 단백질을 단단하게 고정한 뒤에야 X선 촬영을 할 수 있었다. 펄스폭이 작은 레이저-플라스마 가속기는 이 ... ...
이전3633643653663673683693703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