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Ⅳ 인류와 함께한 팔방미인 탄소재료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이용해 온 재료다. 요즘도 예전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이 많고 근래에는 새로운
기능
을 가진 재료로 개발돼 첨단소재로 활용되고 있다.탄소 단독으로 된 것만을 생각하지 않고 다른 원소와 결합한 화합물을 고려하면 유기물 전체가 탄소로 이뤄졌다고 봐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생각하지 ... ...
Ⅱ 생사를 넘나드는 생명의 조절자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것은 유전정보다. 이는 생체분자의 구조와 생물 자체의 외형을 결정해주고 또 그에 따른
기능
을 유지하면서 자손을 번식케 한다. 탄소를 기본골격으로 구성된 생물은 DNA(deoxyribonucleic acids)라는 이중나선형의 생체고분자를 통해 유전정보를 수용하고 유지해 간다. 이 유전정보 자체는 무형정보이나 ... ...
① 무엇이 환경호르몬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영향을 미치는 사례에만 관심을 모아서는 안된다"고 지적하고 "예를 들어 동물의 생식
기능
이 떨어지면 그 종은 머지 않아 사멸될 것이고, 결국은 생태계의 혼란을 초래해 인간에게까지 악영향을 미칠 것"임을 강조한다. 현재와 같은 추세가 지속된다면 몇세기 내에 대부분의 동물이 불임 상태에 ... ...
② 돌다리에서 사장교까지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적게 들고 빨리 만들 수 있다. 이런 특성은 1970년대 경제 개발이 최우선시 되던 때
기능
위주의 다리를 빠른 시일 내에 건설해야 한다는 목적에 부합돼 많이 건설됐다. 그러나 촘촘히 박혀있는 교각이 다리 전체의 미관을 해친다는 점이 지적되기도 했다.역사깊은 아치교세계 교량사에 있어서 최초의 ... ...
자기 몸을 간지럽힐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비해 자신이 스스로 몸을 간지럽힐 때는 소뇌에서만 반응이 발생했다. 소뇌는 '계획'
기능
을 담당하는 인지 부위다. 블랙모어 박사는 "사람들이 자기 몸을 간지럽히려 할 때 소뇌가 촉각이나 쾌감에 관련된 부위에 정보를 알려주는 것 같다"고 추측했다. '곧 간지러워질 것'이라는 경고성 정보를 받은 ... ...
② 인체에 어떻게 영향미치나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수용체와 결합하지 않은 채 악영향을 미치는 상황이 존재한다. 천연호르몬은 자신의
기능
을 다하면 생체에서 분해된다. 만일 이 분해 과정을 촉진시킨다면 천연호르몬은 미처 활동을 마치기 전 사라지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다이옥신이나 폴리염화비닐(PCB)는 이런 과정을 거쳐 남성호르몬과 ... ...
③ 전세계 환경호르몬 피해 사례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환경호르몬이 인간을 비롯한 동물계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생식
기능
이상, 면역
기능
약화, 이상 행동 유발, 그리고 암 유발 등 4가지로 구분된다. 하지만 환경호르몬이 직접 이런 현상을 일으키는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특히 암 발생률의 증가는 여러 요인과 복합적으로 작용한 ... ...
밤하늘을 여는 창 망원경 만들기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수 있다.확인하기 : 방바닥에 등의 모습을 만들게 한 첫 번째 돋보기는 망원경의 결상
기능
, 즉 사물의 형상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망원경의 대물렌즈가 하는 역할과 같다. 두번째 돋보기는 흰 종이에 맺 혀진 등의 모습을 확대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망원경의 접안렌즈가 하는 역할이 ... ...
생존을 위한 몸부림 동식물의 화학무기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다른 세균을 죽이기 위해서 분비하는 화학물질이다.세포막의 형성을 방해하거나 효소
기능
을 억제시켜 물질대사를 못하게 해 상대를 죽인다. 사람들은 이런 미생물을 배지에서 대량 배양해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크로로마이신 등의 항생제를 얻어서 약으로 이용한다.항생제제조의 효시로 1941년 ... ...
국내 초등학생 3명 투시 능력 공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남겨진 연구 과제다.서유헌 교수(서울대 의대 약리학·한국뇌학회장)는 "뇌의 특정 감각
기능
이 예민해져 투시를 비롯한 다양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제하고 "이 현상을 미신으로 아예 무시해서도 안되지만, 신비주의에 머물러 과학적으로 연구하지 않는 자세도 문제"라고 지적한다.국내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