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기
기구
장치
도구
기관
엔진
용구
d라이브러리
"
기계
"(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 과학과 예술의 멋진 랑데부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소프트웨어 공급자가 당연히 있어야 하는데, 이 분야는 명확히 규정 짓기가 애매합니다.
기계
를 이해할 줄 아는 전자공학도의 영역인듯 하면서도 예술을 깊이 이해하는 미학도의 영역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제대로 된 화면을 만들기 위해서라도 관련 학과가 대학에 생겨나야 할 것입니다. ... ...
형상을 기억하는 「물 저장고」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때문이다.요컨대 고흡수성고분자의 다양한 특성과 고분자 겔의 독특한 수축 팽창원리를
기계
공학과 의학기술에 접합한다면, 그 쓰임새는 무궁무진해질 것이다. 지금까지 불가능한 것으로 생각되었던 인공근육 인공손·발 인공안구 등과 같은 인체 손상기관의 개발도 그리 꿈만은 아니다 ... ...
PART Ⅴ 선박설계·생산자동화시스템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001년)에는 이를 하나로 통합한 CSDP가 완성된다는 것이다.이를 위해서 해사기술연구소 (舊
기계
연구소 선박분소)가 중심이 되고 전자통신연구소 선급기술연구소 등 연구소와 현대 대우 삼성 조선공사 등 조선 4사, 서울대 인하대 부산대 등 7개 대학이 참여하는 범국가적인 개발체계를 구성했다. ... ...
PART 3 세계의 첨단로봇 총집합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많이 필요한 작업에는 로봇을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그래서 82년부터 일본의
기계
기술연구소와 여러 방직회사들은 자동봉제로봇을 공동개발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85년에 기초연구용 자동봉제로봇이 탄생했다. 이 로봇은 끝에 붙어 있는 작은 제봉기기로 3차원적인 일감을 바느질할수 있도록 ... ...
남미 최남단, 「비글해협」을 지나며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눈이 쌓여서 나무와 풀의 생장이 어렵기 때문이다.멀리서 볼 때는 식물보다는 기반암이
기계
적으로 풍화된 자갈만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멀리에서 볼 때 비교적 부드럽고 균질하게 보인다는 점에서 이끼류 등이 발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다윈도 수목한계선 위에 작은 고산식물이 발달함을 ... ...
PARTⅡ 방송그래픽,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당시로서는 최신의 새로운 기법으로 신선하게 여겨져 선호되곤 했었다. 문자발생기는
기계
적 기술을 이용해 도형을 그려냈다는 점에서 1차원 컴퓨터그래픽장비로 보아야 한다. 여기서 1차원적이라함은 어떠한 움직임을 보여주지 못하는 평면의 고정된 화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장 기초적인 ... ...
PART 4 몸 안으로 들어가는 마이크로 로봇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불과한 로봇최근 미국 뉴저지주 홀름델에 위치한 AT& T 벨연구소의 연구진은 놀라운
기계
장치 하나를 개발해 냈다. 공학자들인 메레가니(M. Mehregany)와 가브리엘(K. Gabriel) 그리고 물리학자인 트리머(W. Trimmer)가 협력해 멋진 작품을 만들어낸 것이다.그들의 발명품은 한마디로 말해 공기원동기(air turbine ... ...
「과학교과서는 재미없다」는 통념 불변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병폐는 시정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개정 검인정교과서의 저자이기도 한 서울
기계
공고 박봉상교사는 "이번 교과서 개정을 보면 인문계 지망생의 경우 물리의 지식이나 개념을 많이 다루어야 하는 부담에서 조금은 벗어난 것같다. 하지만 이공계를 지망해 물리 관련 학과를 계속 공부하려면 ... ...
미지의 물질 구조를 알아낸다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층형구조가 아닌 입자형구조로 보아야 한다. 2 답은 ①이다.물질의 구조는 특수한
기계
를 통해야만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냄새를 맡거나 맛을 보는 것도 그 한 방법이다. 냄새가 나는 물질은 대부분 입자 사이의 결합력인 약해 쉽게 기체가 되는 것이다.또 단 맛이 나는 물질은 C(탄소)에-OH(수산 기 ... ...
「한국의 스티브 좁스」 꿈꾸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않는다고 사용해본 사람들이 말하고 있다.한글의 개발자는 89년 개발 당시 서울대
기계
공학과 3학년이었던 컴퓨터 이찬진군. 당시 나이는 22세였고 컴퓨터를 다루기 시작한지는 2년이 채 안된 비전공 대학생이었다.그는 우연한 기회에 IBM XT 컴퓨터를 구입, 처음엔 취미정도로 다루기 시작하다가 대학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