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화성 ‘두더지’, 땅속으로 들어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전기로 자동 못질을 해서 땅파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됐는데, 화성의 토양 조건이 과학자들의 예상보다 딱딱해 지하로 들어가는 데 연달아 실패했거든. Q 그럼 두더지 임무는 실패로 돌아간 거야?지난 6월 3일, 마스 인사이트 연구팀은 공식 트위터를 통해 1.8m의 인사이트 로봇 팔로 두더지를 ... ...
- [기획] AI가 자연의 소리를 학습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대해서 알아보니 더 다양한 자연의 소리를 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 과학자들이 모은 자연의 소리, 우리가 들어볼 순 없을까? 인공지능으로 범고래 보호한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생물음향학이 생태 연구의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어요. 생물음향학은 실시간 또는 십수 년 동안 ... ...
- [쇼킹사이언스] 트럭만 한 공룡이 돌을 삼킨 이유는? 보레알로펠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공룡이 식사로 무엇을 먹었는지 알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요. 공룡의 식생활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를 발견하기가 힘들거든요. 그런데 아주 가끔은 뱃속의 내용물이 화석으로 남기도 해요. 캐나다 로열 티렐 박물관 공동 연구팀이 조사한 ‘보레알로펠타’의 화석이 바로 그랬죠!보레알로펠타 ... ...
- [헷갈린 과학] 뉴트리아 vs 카피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뉴트리아 뉴트리아는 남아메리카, 브라질 남부 등에 서식하는 설치류 동물이에요. 쥐와 외모가 비슷하지만 꼬리를 포함해 몸길이 1m, 몸무게 10kg의 거대한 몸집 탓에 ‘괴물 쥐’라고도 불리죠. 매일 체중의 25%에 해당하는 먹이를 먹는 뉴트리아는 수영에 능숙해 갈대 등 물속 식물을 먹지만 가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미뢰, 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미뢰(taste bud, 味蕾) 우리가 맛을 느낄 수 있는 건 혀와 입천장에 있는 ‘미뢰’ 덕분이에요. 미뢰는 맛을 느끼는 미세포가 모여 있는 매우 작은 구조로, 마치 꽃봉오리처럼 생겨 맛봉오리라고도 불려요.거울을 보고 혀를 내밀면 혀 위에 오돌토돌한 모양이 보일 거예요. 이를 ‘유두’라고 하는 ... ...
- 지구의 기록, 바닷속에서 추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예정이지요. “다가올 변화에 대비해 북극을 연구해요.”양은진(극지연구소 극지해양과학연구부 부장) Q다음 탐사는 어떤 것이 특별한가요?코로나19 영향으로 다음 북극 탐사는 특별히 한국인만 탑승할 계획이에요. 알래스카가 완전히 봉쇄돼 외부의 도움을 받기 어려운 탓이죠. 두 번의 코로나 ... ...
- 33살 GIF, 인싸와 궁합이 쿵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박종열 시각지능연구소장은 “둘을 나누는 명확한 기준은 없지만, 컴퓨터과학자의 관점에서 GIF는 이미지”라고 말했어요. 이는 GIF가 동영상 압축 기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개별 이미지들을 한 파일에 저장해 플립북처럼 차례로 보여줄 뿐이거든요.한편, 동영상 파일은 개별 이미지를 각각 ... ...
- [쇼킹 사이언스] 에베레스트산 높이가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은?’바로 인도 북동쪽, 네팔과 중국 국경에 솟아 있는 에베레스트산이에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공식 높이는 해발 8848m이지요. 이 높이는 인도의 탐사팀이 1952년부터 3년에 걸쳐 삼각측량법으로 측정한 결과예요. 거리를 알고 있는 두 지점과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을 삼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릴, 블랙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널리 퍼졌지요. 그렇다면 처음 ‘블랙홀’이란 단어를 쓴 사람은 누구일까요? 미국 과학저술가 마르시아 바르투지아크는 어원을 추적한 끝에 미국 물리학자 로버트 딕을 꼽았어요. 딕은 1960년쯤 이 천체가 사람이 살아나올 수 없기로 악명 높은 감옥 ‘캘커타의 블랙홀’과 비슷하다고 비유했답니다 ... ...
- 코로나19로 예상치 못한 좌충우돌 남극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아라온호가 남극으로 떠난 건 이번이 11번째! 하지만, 이번 항해는 유독 돌발상황의 연속이었다고 모두가 입을 모았어요. 대체 어떤 사연이냐고요? 182일 동안, 남극에선 무슨 일이?지난해 10월 31일, 아라온호가 출항할 때까지만 해도 앞으로 벌어질 일을 누구도 예상치 못했을 거예요. 아라온호는 ... ...
이전3633643653663673683693703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