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뉴스
"
양
"(으)로 총 5,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녀의 희귀암 함께 극복하는 엄마들
팝뉴스
l
2018.01.02
수 있고 서로의 고민을 나누며 대화하다보면 이 특수한 상황이 마치 평범한 일상인
양
느껴지기도 한다고. 수시로 연락을 취하지만 두 가족이 실제로 마주하게 된 것은 지난 1월 한 지역 방송국이 두 아이들의 골수기증운동을 앞두고 마련한 인터뷰 자리를 통해서였다. 같은 병원에서 같은 치료 ... ...
식약처 ‘생리대 위해 없다’ 최종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방출된 VOCs를 각각 검출해 질량을 측정했다. 이렇게 측정된 값은 VOCs가 인체에 흡수되는
양
을 나타내는 전신노출량과 인체에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최대량인 독성참고치를 비교해 안전한 수준인지 평가했다. 식약처 발표에 따르면 전신노출량은 VOCs 함량과 하루에 7.5개씩 한 달에 7일간 평생 ... ...
양
자통신 핵심 부품, 국내서 세계 최초로 소형화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말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무선
양
자암호통신에 이용할
양
자신호 송수신기 부품의 소형화를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완성되 칩은 어른 엄지손가락 길이에 불과하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1000번 접었다 펴도 작동하는 ‘폴더블’ 리튬이온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바인더(연결체)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며 “기존 리튬이온배터리 시스템에 사용하던 다
양
한 활물질을 그대로 쓰면서 간단한 방식으로 집전체에 활물질을 고정시킬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번 연구는 향후 기계적·전기화학적 특성이 우수한 고유연성 집전체를 ... ...
당뇨병 정복에 필요한 건 ‘희귀 유전자’ 총량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당뇨병 발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희귀 유전 변이의 종합적인
양
적 기여도에 대한 측정 결과를 도출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6일자 온라인판으로 등록됐다. 미국국립과학원회보 ... ...
“인간과 어깨 맞대고 일한다”… 산업현장서 ‘협동로봇’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17.12.27
주는 가사도우미 로봇의 등장도 얼마 남지 않은 셈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개발한
양
팔 로봇. 사람처럼 두 손을 이용해 각종 기계부품을 조립할 수 있다. - 전승민 기자 ... ...
중성자별 충돌 관측, 신종 오랑우탄...2017년을 빛낸 과학계 10대 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 파동으로 시공간을 휘게 한다. 중력파로 조기에 포착한 천체를 다
양
한 천체 관측법을 이용해 다각도로 분석해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이언스는 “다중 신호를 통해 천체 현상의 면면을 밝혀낸 역사적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연구 결과는 10월부터 ‘네이처’ ... ...
장내미생물이 알려주는 내 몸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7.12.22
보내온 결과지에는 위와 대장을 비롯해 심혈관질환, 뇌질환, 비뇨기질환, 폐질환 등 다
양
한 분야의 위험도 정보가 담겨 있었다. 이 소장은 “환자들과 정상인의 장내미생물 데이터가 많을수록 예측 정확도가 높아지는데, 현재는 위와 대장 등의 소화기질환 분야의 예측 정확도가 높은 편”이라며 ... ...
[과학&기술의 최전선] 병든 세포 실시간 추적으로 암 조기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입자 자체가 조영제 역할을 하는 나노램프를 개발했다. 방사성 나노입자를 활용한
양
전자방출단층촬영(PET) 조영제, 광학영상 조영제로 쓰이는 퀀텀닷 나노입자, 초음파 영상에서 표적 세포가 잘 보이도록 주변에 기포를 생성하는 나노버블 등도 동물실험 단계에 있다. MRI의 나노 조영제로 ... ...
크리스마스 트리의 고향은 제주?!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제공 이어 김 박사는 “한라산은 내륙 지방과 달리 화산 분출에 의해 토
양
이 쌓여 토층이 얇다”라며 “따라서 한라산에 자생하는 구상나무는 태풍 같은 강한 바람이나 집중 강우 같은 급격한 기후 변화에 뿌리가 크게 흔들리는 등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 내년 국립산림과학원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