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정
가구
가족
성대
세기
시대
일대
뉴스
"
세대
"(으)로 총 5,4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5G 서비스 시나리오 및 홍보콘텐츠 모집 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
세대
이동통신(5G) 상용화를 앞두고 5G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국민적인 공감대를 만들기 위해 통신3사와 공동으로 5G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공모전을 통해 5G를 활용한 참신한 서비스 시나리오와 포스터, 이모티콘 등 다양한 홍보콘텐츠를 ... ...
[프리미엄리포트]초콜릿 색깔의 완결판 '핑크 초콜릿'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설탕을 넣어 만든 화이트 초콜릿이 탄생했다. 밀크 초콜릿과 화이트 초콜릿은 각각 2
세대
와 3
세대
초콜릿으로 불린다. 루비 초콜릿은 핑크색으로 일단 색깔에서 독보적이다. The Barry Callebaut Group 발효 안 시키는 게 핵심…4
세대
초콜릿 등장 이 초콜릿 계보를 잇는 4
세대
초콜릿을 개발하기 위해 ... ...
KAIST 연구진, 뉴로모픽 칩 시냅스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칩은 기존 반도체보다 저전력으로 구동된다. 데이터 처리 과정을 통합할 수 있어 차
세대
반도체로 주목받고 있다. 멤리스터는 메모리와 레지스터의 합성어로 메모리와 프로세스가 통합된 기능을 수행한다. 뉴로모픽 칩 내부에 물리적 인공신경망을 가장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 이길 '감자 2.0'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시작했다. 이런 유전자를 이용해 기후변화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확률을 보이는 차
세대
감자 품종을 개발한다는 목표다. 이른바 '감자 2.0'이다. 브라질은 안데스 산맥의 주요 감자 재배지와는 사실 거리가 멀다. 하지만 야생종은 브라질 남부 히우그란지두술주까지 뻗어 있다. 하이든 연구원은 ... ...
암, 림프절 전이 과정 국내 연구팀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암세포는 암이 처음 시작된 곳에서 혈관 또는 림프관을 통해 전이를 시작한다. 그 중 림프관으로 나온 암세포는 첫 번째 만나는 림프절에 도달해 ...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고 단장은 “암세포가 지방산을 산화하는 과정을 표적으로 하는 차
세대
항암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美연구진, 대장균 유전자도 교정하는 ‘크리스퍼’ 기술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06
있는 ‘유전자가위’ 역할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효소가 등장했다. 가장 정교한 기술인 3
세대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 기술의 세계적인 권위자인 제니퍼 다우드나 캘리포니아대학버클리(UC버클리)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크리스퍼에 쓰이는 새 효소를 규명하고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5일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이종호 KIST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2.06
기존 세라믹 연료전지 전해질보다 이론적으로 100배 이상 전기 전도율이 높아 유력한 차
세대
연료전지로 주목 받고 있다. 이 책임연구원은 프로튼 세라믹 연료전지 상용화의 가장 큰 난제를 해결하고 재료 특성을 밝혔다. 전해질-전극 접합체를 제작할 때 열처리 과정이 필요한데, 이 때 재료의 ... ...
차
세대
메모리 CB램 성능 100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6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많아지고 성능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CB램의 경우 다른 차
세대
메모리인 플래시램에 비해 100배 적은 전력으로 읽기와 쓰기 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나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선 결정화 온도를 높여야 한다. 연구팀은 CB램의 구조 내에서 절연체를 활용해 저항성을 높일 ... ...
스트레스도 가족력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5
스트레스를 받아도 더 튼튼한 면역반응을 보였다”고 말했다. 면역 반응이 이전
세대
가 경험했던 환경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랭킬드 교수는 “세상이 변화하며 인간과 동물이 맞닥뜨리는 것과 같은 스트레스를 받을 상황이 많아지고 있다”며 “그 어떤 부정적인 효과를 줄이기 위해 ... ...
실험기간만 ‘500년', 인간수명 넘어서는 과학프로젝트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4
단, 이 모든 것은 이런 실험을 포함한 연구 프로젝트가 500년간 잊히지 않고 다음
세대
로 계속 이어져야 가능한 일일 것이다. 중간에 약속된 지시사항들이 잘못 이해돼서도 안 된다. 물론 에든버러대 역시 그때까지 존재해야 한다. 아니면 최소한 이 프로젝트가 다른 연구 기관으로 이관돼야 한다.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