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태양"(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과학- 흑점수는 11.2년 주기로 증감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의한 관측에도 아이피스나 대물렌즈에 필터를 끼워 관측하는 직시법과 스크린에 태양의 투영상을 비쳐 관측하는 투영법이 있으나 여기서는 지면 관계로 생략하기로 한다. 주변의 천문대나 '과학동아'의 과월호 또는 선생님 등의 도움을 받아 흑점을 관측해 보자. 20세기에 사는 사람들이 17세기에 ... ...
- 3. 1996년 2단 중형 로켓발사의 디딤돌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오존측정기는 2백55, 2백90, 3백10, 4백50nm(10-9m) 파장대의 자외선 복사흡수량을 측정한다. 태양센서는 로켓표면에 나 있는 가는 슬릿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각도를 측정해, 로켓이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가에 따른 오존측정값의 차이를 보정해준다.측정된 신호는 5V 이내의 값들로 S밴드를 이용해 1백6 ... ...
- 고속정찰기를 우주과학연구에 이용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자리의 유성우의 관측을 행했다.JPL과 ARC에서는 프랑스가 마하2.2로 비행하는 콩코드기에 태양망원경(ST)을 탑재하여 지상의 4-5배 시간을 연속하여 개기일식을 관측했듯, 지구에 근접하는 소혹성이나 혜성을 마하3의 속도로 시선방향으로 추적비행관측하는 MCBSP를 1994년말까지 계속할 계획이다 ... ...
- 하늘에 떠있는 별들의 절반은 짝별과학동아 l1994년 03호
- 망원경으로도 쉽게 볼 수 있는 이중성으로 전형적인 움직임을 갖는다. 반성은 귤색이며, 태양 광도의 1/2 정도인 왜성이다.② β(별) Ori(별자리) 0.1+6.7(광도) 9.4(분리각) 202(위치각) 1925(연도) : 리겔거리는 많이 떨어져 있으나 주성이 너무 밝아 상대적으로 반성이 빛을 잃기 때문에 소구경으로 보기 ... ...
- 1. 세계가 자랑하는 대형로켓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장소. 적도 근처인 이곳에서는 정동향과 정북향으로 지구정지궤도(3만6천km 상공)와 태양동기궤도에 위성을 발사할 수 있다. 더군다나 이곳은 지진과 태풍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특히 최근 아리안 스페이스사에는 ESA의 지원을 받아 이곳에 발사체 두대를 동시에 발사 준비할 수 있는 시스템까지 ... ...
- PART.2 학습·오락용 특선 21과학동아 l1994년 03호
- 토성의 테까지 닥치는 대로 훔친다. 사용자는 카멘 일당을 체포하는 과정에서 태양을 비롯한 달, 금성 등 각종 혹성에 대한 신비를 알게 되며 또 우주를 탐험하기 위해 떠났던 옛 소련의 우주 비행사 가가린이나 미국의 암스트롱 아담스 등을 만난다. 이 밖에 미국과 세계의 역시 및 지리를 배울 수 ... ...
-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원자력발전의 연료인 우라늄 1g은 약 2백억cal, 지구에너지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는 태양 핵융합에너지는 그 이상의 에너지를 발생시킨다.그렇다면 물질 1g이 반물질과 만나면 어느 정도의 에너지가 발생할까. 최소한 핵분열에너지의 1천배, 핵융합에너지의 수백배는 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 ...
- 빛의 밀도비 f수에 따른 망원경 선택과학동아 l1994년 02호
- 관측하는데 이용할 것인지, 아니면 옥상이나 베란다에 설치해 놓고 이중성과 행성 등 태양계의 천체들을 관측하는데 주로 이용할 것인지에 따라 망원경의 선택은 달라진다.전자의 경우 관측 대상들의 표면 밝기가 낮으므로 f수가 작은 망원경을, 후자의 경우 f수가 큰 망원경을 선택해야 한다. ... ...
- 물리- 빛은 공간 자체가 매질이다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안에서도 별로 개선되지 않는다.그러나 우리는 공전하는 지구 위에 살고 있다. 지구의 태양에 대한 속력이 30km/초인데 이는 빛의 속도의 1만분의 1이므로 실험장치만 정교하면 그 차이를 포착할 수 있다.마이켈슨은 빛의 속력을 정밀하게 재는 전문가로서 실험의 정확도는 다른 학자들도 충분하다는 ...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널리 분포해 있다. 그 생성에 필요한 고압은 화산 기원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현재도 태양계에는 지구나 다른 행성 또는 달에 충돌하는 수많은 작은 천체, 즉 유성이나 운석이 존재한다. 그 수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많았던 것이다. 달에는 지구와 같은 풍화와 침식 작용이 없기 때문에 오래 ... ...
이전3623633643653663673683693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