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유리도 3D 프린터로 인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색깔을 띠도록 만들 수도 있답니다.연구를 이끈 바스티안 랩 연구원은 “액체 유리를 이용하면 건물의 커다란 창문부터 매우 작은 카메라 렌즈의 부품까지 유리로 된 모든 물체를 3D 프린터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어요 ... ...
- [과학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필요한 단백질을 만들 수 없어요. 사람이나 다른 동물의 몸속에서 이들의 유전자를 이용해야만 증식할 수 있지요. 그래서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 단계로 보아왔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과 오스트리아 국제 공동 연구팀이 오스트리아에 있는 한 하수처리장에서 ‘클로스노이바이러스’라는 이름의 ... ...
- 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있다면?사람들이 생각의 틀을 깼으면 좋겠다는 것이 저희의 바람이에요. 사실, 식물을 이용해 동물의 혈관을 만드는 건 무척 이상해 보일 수 있어요. 하지만 저희는 그 아이디어를 버리지 않았고, 실제로 실험을성공시켰답니다! 인공 혈관을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낸 거죠.여러분도 다소 엉뚱해 ... ...
- [과학뉴스] 초미세먼지 원인 이산화질소, 이제는 정확히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책임연구원팀은 자외선을 쪼이면 이산화질소만 일산화질소로 바꿀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정밀한 측정 장치를 개발했다. 기존 장치와 비교 측정한 결과, 대기 중 이산화질소 농도가 연평균 20.4%가량 초과 측정되고 있다는 사실도 새로 밝혔다. 정 책임연구원은 “정확한 이산화질소 농도 측정은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추적하다토성에는 20~30년마다 괴물급 폭풍이 발생한다. 카시니는 적외선 분광기를 이용해 2010년 12월 발생한 폭풍을 최초로 우주에서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doi:10.1038/nature10205). 폭풍은 약 3개월 동안 토성의 북위 30도 부근을 돌면서 동서로 30만km에 걸쳐 거대한 구름을 형성했다. 사진에는 토성 대기의 ...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지방을 분해한 에너지를 더 많이 쓴다. 지방산화량이 적다는 것은 지방보다 글리코겐을 이용해서 에너지를 많이 낸다는 뜻이다. 글리코겐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은 지방을 분해할 때와 비교해 같은 양의 산소로 더 많은 에너지를 만들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하지만 이런 차이는 베이스캠프에 ...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생물 종 하나에 대한 정보를 찾기 위해 아주 많은 시간이 필요했지만 DNA 분석을 이용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한나 KIOST 해양순환·기후연구센터 연구원은 해양 물리학에 대해 소개하며 “해양물리학은 바닷물이 어디에서 흘러오고 어디로 흘러가며, 흐르는 도중에 어떠한 ... ...
-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평가 기술 개발)를 하고 있다. 여성청결제는 사용 형태를 고려해 임의로 선정했다. 물을 이용해 외음부를 씻어내는 젤형 3개, 티슈형 1개, 물로 씻어내지 않아도 되는 보습제(윤활제)형 1개 등 마트와 온라인 쇼핑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제품 5개를 골랐다. 또 약국에서 판매되는 질세정제 1개도 ... ...
- 한글의 美, 기하학 만나 추상미술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수행했다. 평소 표현해보고 싶었던 ‘독도’를 주제로 정하면서 패턴 중 하나를 한글을 이용해 만들었다. ‘동쪽 끝 섬 독도’라는 글을 선으로 추상화한 것이다. 그때 교수와 친구들의 반응이 흥미로웠다. 한글을 문자가 아닌 오로지 추상미술의 도구로 받아들이고, 작품에 메시지가 숨어있다는 데 ... ...
- Part 1. 여성화장실 줄만 너무 길어요!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얼마인지를 지수함수로 나타낸 것. 화장실을 찾는 사람 수가 푸아송 분포를 따르면 이용 시간은 지수 분포를 따른다. 그래프를 보면 변기 수를 14개에서 13개로 줄일 때 늘어나는 대기 시간의 양보다 11에서 10개로 줄일 때 늘어나는 대기 시간의 양이 커. 변기가 적을수록 한 개 줄어들 때 대기 ... ...
이전3623633643653663673683693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