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d라이브러리
"
방식
"(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MEMS는 미래기술의 해결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세계시장을 주름잡는 디스플레이는 액정이 움직이는 각도에 따라 화면에 빛이 노출되는
방식
인 액정표시장치(LCD)다. 그러나 시야각이나 잔상 등은 액정 소자가 갖는 한계다. 또 화면에 가까이 다가가면 미세하게 나눠진 화소 사이의 간극이 어둡게 보이는 단점도 있다.하지만 윤 교수는 “머리카락 ... ...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환자의 수술 부위를 3차원으로 재구성한 뒤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으로 최적의 수술
방식
을 결정한다. 이 과정을 컴퓨터에 입력해 로봇이 수술의 전 과정을 진행하게 한다. 마치 워드프로세서로 모든 편집과정을 마친 뒤 출력 버튼을 누르면 화면과 똑같은 출력물이 나오는 상황과 비슷하다.수술 전 ... ...
21세기형 만능 공장 디지털 팩토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아날로그
방식
에서 벗어나 ‘시뮬레이션으로 물건을 먼저 만들어본다’는 디지털
방식
으로 생각하는 건 어떨까요?”가상공장의 진화2005년 4월 독일 하노버에서 열린 ‘하노버 페어 2005’의 화두는 디지털 팩토리였다. ‘하노버 페어’는 세계 최대의 산업자동화 전시회다.지멘스 아태총괄 회장인 ... ...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천체운행계산법이다. 따라서 여기에 들어있는 행성운동 모델이나 계산법은 중국 전통
방식
과 완전히 다르다. 케플러법칙에 따르면 행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타원궤도운동을 한다. 태양에서 가까운 곳을 지날 때는 운동속도가 빠르고 먼 곳을 지날 때는 느리다.그런데 그리스시대에는 천체는 오로지 ... ...
14년 우정이 만든 빛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미국 대학의 운영
방식
을 따른다. 하지만 단순히 미국
방식
대로 따라하기보다는 미국
방식
의 장점만 취했다고 보는 편이 옳다.마가리톤도 부총장은 “스위스의 대학은 자신의 뿌리에 미국 소스를 뿌려 독특한 문화를 만든 셈”이라며 “본성을 잃지 않으면서 더 발전하는 모델을 만든다”고 ... ...
'새대가리' 같지 않게 똘똘한 비둘기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머리가 나쁜 사람을 더 이상 ‘새대가리’라고 부를 수 없게 됐다.유럽의 인식신경과학 지중해연구소와 국립중앙과학연구소는 비둘기가 1000개 안팎의 그림을 기억 ... 동물 모두 연구팀의 예상보다 기억능력이 매우 뛰어났으나 두 동물이 그림에 반응하는
방식
과 기억하는 양은 달랐다 ... ...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영원히 남는 세상선폭의 한계와 더불어 생기는 문제는 0과 1로 처리되는 디지털 처리
방식
의 한계다. 전문가들은 전자를 뛰어넘을 새로운 패러다임을 양자(Quantum)에서 찾고 있다. 양자를 이용한 컴퓨터 개념은 이미 1982년에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이 제안했다. 양자의 중첩현상과 얽힘현상을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아니다호밍 비컨(homing beacon)이라고도 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무선 항행 원조
방식
이다 척추가 없는 동물의 총칭 무척추동물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가 활발해짐 따라 문(門) 수준의 분류상의 군들이 확립되었다척추동물을 독립된 하나의 문으로 다루는 학자들도 있지만 오늘날에는 이것을 ... ...
마빡이는 엄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느끼는 피로의 기준은 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근육이 실제로 느끼는 피로는 운동
방식
, 운동시간, 개인의 체력정도, 심리상태 등에 따라 달라진다.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대 로브손 앤슬리 박사는 오랜 시간 운동을 하면 몸속 신호전달분자인 ‘인터류킨-6’이 뇌에 신호를 보내 운동을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때는 여러 유전자(Notch, Nurr1, Pitx3)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전자끼리 어떤
방식
으로 소통하는지 이해해야 줄기세포 분화메커니즘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다.배아줄기세포건 성체줄기세포건 분화의 메커니즘을 꿰뚫을 수만 있다면 난치병 치료의 길이 열리는 건 시간문제. 하지만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