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참여]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라! 제4회 청심ACG수학대회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수학 문제를 이렇게 웃으면서 풀기는 처음이었죠. 집에 오는 중에도 그때만 생각하면
계속
웃음이 나왔어요.혜림 학생이 생각하는 수학의 재미는 무엇인가요?새로운 방법으로 문제를 풀어 볼 수 있다는 점이요. 사실 그동안 수학이 저한테 재미있고 즐거운 과목은 아니었어요. 어렵고 지루하다고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지식들이 축적돼서 인류에게 필요한 지식으로 바뀔 거라고 전 믿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종헌터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Bridge. 신종 핫스팟은?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작업할 수 있는 시간이 그리 길지 않았다는 점을 모두 아쉬워했다. 또한 ‘하는 사람만
계속
하는’ ‘바쁜 사람만 바쁜’ 구조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그렇지만 변화도 엿보였다. 홍석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홍보실장은 처음에는 관심없던 연구원 사람들도 전시장을 오가며 흥미를 보였다고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이 가운데 나이와 사망률이 비례하는 동물은 포유류밖에 없었지. 무척추동물인 히드라는
계속
분열하며 마치 영생을 사는 것처럼 보였고 딱딱한 조개 속에 사는 소라게 역시 나이를 먹어도 사망률이 늘어나지 않았어. 파충류인 사막거북은 오히려 늙으면 늙을수록 사망률이 떨어졌단다. 높은 산의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칼럼에 실리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첫 칼럼이 큰 인기를 끈 덕분에 마틴 가드너는
계속
칼럼을 연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이후 ‘수학게임’이라는 제목으로 그의 칼럼은 1981년까지 무려 25년간 이어졌다. 그는 수시로 수학퍼즐에 관한 책도 집필했는데, 그 수가 무려 70권이 넘는다 ... ...
INTRO. 신종헌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열리는 첫 생물다양성총회를 맞아 신종헌터 특집을 준비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종헌터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Bridge. 신종 핫스팟은?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 ...
Bridge. 신종 핫스팟은?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종을 많이찾은 곳은? 신종이 앞으로 얼마나 더 등장할지 예측하는 방법도 소개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종헌터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Bridge. 신종 핫스팟은?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우리 신종헌터들은 이미 '생물자원 특허전쟁'의 최전선에 서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종헌터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Bridge. 신종 핫스팟은?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혹은 서로 불신하며 속 마음을 숨겨야 하는 사회일지에 따라 말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진화, 천의 얼굴을 빚다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읽고 “말도 안 돼!”하고 당신이 책을 덮어도 상관없다. 또 다른 우주의 당신은 책을
계속
읽고 있을 거니까.다세계 해석에도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 낭비가 심하다. 측정이 이루어질 때마다 우주가 나눠진다면 대체 얼마나 많은 우주가 존재한다는 말인가? 혹 떼려다 혹을 붙인 셈이다. 좀 더 미묘한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