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같은시간"(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 3D 쿵푸버스터 레전드 오브 래빗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달리기 시합에서 느림보 거북에게 진 잠꾸러기 토끼, 용궁에서 거북과 용왕을 속였던 간 큰 토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시계 토끼처럼 지금까지 알고 있던 토끼는 이제 잊어주세요. 철 없고 웃긴 허당 ‘투’가 토끼의 전설을 새롭게 선보입니다. 올해는 3차원(3D) 애니메이션이 대세랍니다. 1월 ... ...
- [시사] 난쟁이 행렬과 평균의 진실수학동아 l2012년 04호
- 보통 한 나라의 부를 1인당 국내총생산(GDP)로 파악한다. 그런데 GDP가 높다고 해서 국민이 다 잘 사는 것은 아니다. 미국은 1인당 GDP가 4만 5000달러에 이르는 잘 사는 나라다. 하지만 최상위 1%의 소득이 전체 국민소득의 대다수를 차지해 가난한 국민들이 살기 힘겹다. 1인당 국민소득이 높아도 부가 ... ...
- 실패를 새로운 아이디어로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나노기술은 어느 한 전공이 독점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라 여러 학문의 융합이 필요한 완전히 새로운 연구분야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으라는 말처럼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려면 새로운 관점과 지식이 필요하다. 그런 면에서 휼륭한 연구성과를 보여주는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 연구실에 도 ... ...
- 낙엽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말도 안 돼. 우리가 우수동아리상을 받다니!” 자연사랑반 학생들은 예상치 못한 수상 소식에 깜짝 놀랐다. ‘과학창의랩 동아리’로 선정돼 2011년 9월부터 연구한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였다. 지난 6개월 동안의 노력이 머릿속을 스쳐가면서 이루 말할 수 없는 뿌듯함을 느꼈다. 연구결과를 발표 ...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피타고라스(Pythagoras, ca. 570~498 BC)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통해 수학자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수학을 비롯해 소리를 연구하는 음향학으로도 유명하답니다.그 중 ‘망치의 전설’은 꽤 유명하죠. 두 망치의 무게비가 2:1이면 ‘도’에서 ‘도’ 사이에 해당하는 옥타브 간격의 음정을 만들고, 무 ... ...
- 수학으로 변신! 패션왕수학동아 l2012년 04호
- 보고 있나? 한때 패션테러리스트라고 불렸던 이 형돈이가 패션프로그램에 이어 패션쇼 MC까지 맡게 됐다고. 하하하~! 수학의 도움을 받아 때 빼고 광도 조금 냈지. 그런데 패션쇼 하고는 전혀 안 어울리는 패션 센스를 가지고 있는 저기 저 여학생은 뭐지?뭐? 좋아하는 남학생이 생겨 변신을 원한다 ...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솔이야, 괜찮니? 갑자기 왠 정전일까…?”으악! 샤워하는데 갑자기 불이 꺼지고 따뜻한 물도 안 나와! 엄마는 가스 레인지도 안 켜진다며 저녁 준비도 못 하고 계셔.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해세계 인구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2011년 10월 31일, 인도 북동부 ... ...
- 숫자 4는 언제나 현재진행형!수학동아 l2012년 04호
-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과 태극기 4괘인 건, 곤, 감, 이는 물론, 동서남북 4방위와 그에 따른 4신(四神) 청룡, 백호, 주작, 현무까지…. 숫자 4의 예는 무궁무진하다. 특히 수학에서는 좌표평면을 4개의 면으로 나누어 제 1, 2, 3, 4 사분면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사물의 기본적인 형태 중 하나인 사각 ... ...
- Part1. 작아서 강한 큐브샛, 인공위성 성능 뺨친다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지난 2월초 벨기에 브뤼셀에는 수백 명의 위성 전문가들이 몰려들어 ‘눈은 번쩍, 귀는 쫑긋’한 행사를 열었다. 이 행사는 가로 세로 높이 10cm 크기의 큐브샛으로 우주를 탐사하는 프로젝트 ‘QB50’에 대한 사업 설명회였다. 2015년에 50개의 큐브샛을 동시에 쏘아올려 우주 탐사를 입체적으로 해보 ... ...
- Part1. 이 걸 먹는다고?과학동아 l2012년 03호
- 환자의 토사물을 먹으며 쓴 박사논문아무리 박사 논문 쓰기가 어렵다 한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의 스터빈스 퍼스 박사만 할까. 그는 황열병이 사람을 통해 전염되지 않는 것을 밝히기 위해 환자의 토사물은 물론, 피와 땀, 오줌을 먹어가며 논문을 썼다.주로 적도지방에서 발생하던 황열병이 1804년 ... ...
이전3623633643653663673683693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