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00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강한 자기장을 갖고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중성자별인 쌍성 펄서를
발견
했다. 이
발견
을 토대로 쌍성의 공전 주기가 감소하고 있으며 이 감소율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예측과 매우 잘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1993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모빌리티 기술
과학동아
l
2021.01.16
날개 바깥쪽에 부딪히는 경우 자세를 재조정해서 다시 비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이어 장수풍뎅이 뒷날개가 접히는 모습을 구현한 인공날개를 만들어 초소형 비행체에 적용했을 때도 뒷날개가 충돌상황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장수풍뎅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 에너지 증폭시키는 마법의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21.01.16
빛을 약한 세기로 쪼이자 빛이 에너지가 더 커진 채로 방출되는 현상을 처음으로
발견
했다. 이 현상이 눈이 갑자기 쏟아지는 눈사태와 비슷해 ‘광사태’라는 이름을 붙였다. 광사태를 일으키는 기존 물질은 효율이 낮았다. 예를 들어 빛 알갱이가 100개 들어가면 대략 1개 정도가 나왔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면역 체계, 돌연변이 방어할 수 있나?
2021.01.15
그림 2).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발견
된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빨간색)와 영국에서
발견
된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파란색) 비교 스파이크를 표적으로 삼는 항체 기능을 다소 잃더라도 백신은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다른 방법을 가지고 있다. 백신은 항체와 더불어 후천면역의 양대 축인 T 세포를 ... ...
'고독한 사냥꾼' 전기뱀장어도 무리 지어 협력 사냥
연합뉴스
l
2021.01.15
강과 연결된 작은 호수에서 1m 이상 되는 100여마리의 성체 전기뱀장어가 모여있는 것을
발견
했다. 이어 2014년 10월 같은 곳에서 72시간 동안 연속해 관찰하며 볼타 전기뱀장어의 협력 사냥을 자세히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이때 볼타 전기뱀장어는 하루의 대부분을 호수 깊은 곳에서 미동도 하지 ... ...
"코로나19 걸리면 골초보다 폐 나빠진다…무증상도 상흔"
연합뉴스
l
2021.01.15
그는 설명했다. 또 무증상 감염자라고 해도 엑스레이 촬영 결과 폐에서 심한 상흔이
발견
되는 비율은 70∼80%에 달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뱅크헤드-켄들 박사는 지난해 3월부터 코로나19 감염자 수천명을 치료했다고 CBS는 전했다. 한번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장기간 폐 질환에 시달릴 수 있다고 ... ...
WHO 조사팀 中 우한 도착…코로나19 사태 1년만에 과학적 기원 찾기 나서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처음 발생한 곳은 아닐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중국에서
발견
되기 전 스페인, 이탈리아, 미국에서 있었다는 보도가 수 개월간 잇따라 나왔다. 일각에선 이를 WHO가 우한을 조사하려는 것을 훼방하려는 시도로 보는 시각도 있다. WHO의 국제 발병 및 대응 부서의 의장인 ... ...
영국·남아공 이어 일본·미국서도 변이 코로나
발견
...WHO 긴급위원회 소집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돌연변이를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지구촌 곳곳에서 변이바이러스가
발견
되자 WHO는 긴급위원회를 열고 변이바이러스 관련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WHO는 “최근 보고된 변이바이러스들에 대한 대응과 백신 사용 등 여러 사항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과학자들은 코로나19 ... ...
코로나 완치 후 최소 5개월은 백신 접종과 같은 예방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참가한 의료진들의 연령대가 35~54세이기 때문이다. 또 영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서
발견
된 변이바이러스의 재감염 위험에 대해서도 불투명하다. 대니 알트만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면역학 교수는 “대다수가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가변적”이라며 “완치된 후 5개월이 지난 후에는 ... ...
전 세계인 5명 중 1명 앓는 과민성 대장증후군 원인은 '장내 면역반응'
2021.01.15
교수는 “비만 세포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일으키는 과정을 알게 된 것은 중요한
발견
이다”며 “비만 세포는 히스타민 외에도 다양한 화학물질들을 분비하기 때문에 비만 세포 자체를 공략하는 게 더 효과가 있는 치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