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과학을 좋아했거나 좋은 롤모델을 만나 이공계로 진학하더라도, 여성들은 또 다른 큰 산에 직면하게 된다. 바로 육아와의 ‘전쟁’이다. ‘엄마’가 된 많은 여성 과학기술인들이 지금도 아이를 키우느라 연구 현장을 떠나고 있다. 어떻게 해야 과 ...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앞으로 앞으로~♪ 지구는 둥그니까~♬” 위 동요의 가사처럼 지구는 둥글다. 지금은 이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옛날 사람들은 그렇지 않았다. 많은 사람이 지구가 평평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가장자리로 가면 낭떠러지로 떨어질 거라며 두려워했다. 이후 많은 탐험가와 과학자의 노력 덕 ... ...
- 제58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생생한 뒷이야기수학동아 l2017년 09호
- 7월 12~23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제58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가 열렸다. 111개국, 615명이 참가한 이 대회에서 우리나라는 대표팀 6명이 모두 금메달을 따며 2012년 이후 두 번째로 종합 성적 1위를 기록했다. 대표로 출전한 김다인, 김세훈, 백승윤, 안정현, 이송운, 최규현 학생과 엄상일 부단 ... ...
- [가상인터뷰] 물 없는 육지로 올라와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안녕~! 나는 어과동의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요즘 푸푸와 바다로 생태 탐사를 나가고 있어. 그런데 얼마 전 신기한 물고기를 발견했어! 밀물 때마다 바위로 펄쩍 뛰어올라 오랜 시간을 보내더라고! 물고기가 물 없는 육지로 올라와 살다니!도대체 이유가 뭘까? 당장 그 이유를 알아봐야겠어!안 ... ...
- Part 4. 아이디어가 반짝! 착한 디자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책상 겸 가방이 돼 주는 폐지가방 대신 책 보자기를 짊어진 아이들, 책상이 없어 바닥에 책을 놓고 허리를 굽힌 채 공부하는 아이들…. 인도에서는 아직도 이런 풍경이 흔하다고 해요. 인도의 사회적 기업인 ‘아람브’는 이런 열악한 교실 환경을 조금이나마 개선하기 위해 어린이들에게 특별한 선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횡단하는 개기일식이 일어난다. 일식은 신비로운 현상일 뿐 더 이상 연구할 것은 없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과학자들은 태양의 신비를 밝히기 위해, 짧은 시간 동안 다양한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개기일식은 달에 의해 태양빛이 완전히 가려지는, 달의 본그림자가 지구를 ... ...
- [Origin] 개를 위한 예술?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반려견 록키가 갤러리에 갈 때마다 무척 즐거워했어요. 저는 즐거움보다 딜러가 과대 평가한 작품에만 신경을 쓰고 있었는데 말이죠. 궁금했습니다. (예술을 즐기는) 록키의 비결이 뭔지.”지난 해 3월, 미술사를 전공한 미국의 평론가 제시카 도슨 박사는 예술영화를 유통하는 업체 ‘크라이테리 ... ...
- [Origin] ‘지질조사 어벤져스’의 한라산 비밀의 숲 탐험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한라산을 찾는 탐방객은 연간 125만 명에 이른다(2015년 기준). 하지만 일부 탐방로를 제외하면 대부분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비밀의 숲’이다. 지난 6월 22일, 기자는 그 비밀의 숲 속으로 들어갔다.각도가 40°는 돼 보이는 가파른 오름에는 허리춤까지 올라오는 조릿대가 빼곡했다. 한라산 학술 ... ...
- [Career] 나의 상상력이 인류의 미래를 좌우한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국립과천과학관이 ‘2017 노벨상탐구 발표경연대회’를 개최한다. 연구하고 싶은 기초과학 주제를 제안하고, 그 연구성과가 인류사회에 끼칠 영향력을 설명하는 대회다. 과학에 관심 있는 고등학생과 대학생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좋은 과학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두 가지 조건, 참신한 질문을 찾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질병이 발생하기 전에 나타나는 징후가 있는데, 그걸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싶었어요.”김철기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바이오자성융합센터장)는 물질이 가진 기본 성질 중 하나인 ‘자성’을 응용해서 질병진단기술을 개발하는 융·복합 연구자다. 그는 올해 3월 거미집을 모방 ... ...
이전3613623633643653663673683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