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코기
고기
육질
살가죽
살갗
식용부분
가죽
d라이브러리
"
살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사들의 경험이야기 누가 훌륭한 과학자가 되나?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교과과정을 보면 자연과목이 가장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국민학교의 자연수업시간을
살
펴보면 선생님들이 여러가지 실험들을 해 보이면서 그런대로 재미있게 이끌어가고 있어요. 지식수준이 낮은 어린이들에겐 간단한 실험이나 야외관찰이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거든요. 그런데 고등학교에 ... ...
PART 3 생명의 시작은 물에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낙타나 캥거루쥐는 대량의 염분을 처리하고 있다. 낙타는 체중의 40%의 물을 잃어도
살
아 있을수 있지만 강렬한 태양 아래서 몸을 식히는데에는 수욕이 필요하다. 야행성 캥거루쥐는 전혀 물을 마시지 않는데 건조한 식물의 씨앗을 먹어 5주일에 약 57g의 수분을 신진대사 시키고 있으며 1~2방울의 ... ...
물리학을 위해 태어난 사람 카를로 루비아 CARLO RUBBIA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던 일이 여러번 있었다. 그러나 1960년대에 글래쇼우, 와인버그,
살
람등 3명의 젊은 이론물리학자들은 ‘전자력과 약한 힘의 통일이론’을 발표하고 이 전자력과 약한 힘이 서로 작용을 미칠 때 전혀 성질이 다른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W입자와 중성 Z라는 3종류의 입자가 ... ...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포식한다고 보고한 곤충사육자도 있다. 한편 교미비상을 비롯한 교미의 습성을
살
펴보기 위해 먼저 암수의 구별을 들어보자. 잠자리의 체형은 암수의 차가 거의 없고 체색이나 반문(斑紋)등에 의해 구별할수 있다. 그러나 정확히 구별하자면 수컷의 교미기를 보면 잘 알수있다. 즉 복부제2절(腹部第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결국 추위와 기근이 온세계를 휩쓰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우리는 우리 지구와 함께
살
아가기 위해 새로운 지식을 사용할 것인가 아니면 지구를 파괴하기 위해 새로운 지식을 사용할 것인가 하는 중대한 선택의 기로에 서있는 것이다 ... ...
과학자·기술자를 지망하는 청소년에게 주는 글 과학공부하는 마음가짐에 대해서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사람들은 편리한 생활을 즐기고 더 오래
살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무서운 전쟁무기의 개발과 자연환경의 훼손을 초래한것도 기술의 발달에 원인이 있음을 잊어서는 안된다. 과학자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런 유해한 부작용을 수반하지 않고 오직 ... ...
미국 수소폭탄의 아버지 에드워드 텔러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뒤 수학을 공부하고 싶다고 내세웠을 때 승낙하지는 않았다."아버지는 수학으로는 먹고
살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타협한 끝에 화학을 공부하기로 했다"고 텔러는 회상하고 있다."그러나 나는 아버지를 속였다. 나는 수학과 화학을 함께 공부했던 것이다. 2년뒤 아버지는 마침내 그의 뜻을 ... ...
컴퓨터 범죄 하이테크 사회의 새로운 재앙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독특한 측면이 엿보인다. 이러한 새로운 범죄에 관련되는 인물상은 '15
살
부터 30
살
대의 연령으로 컴퓨터에 관한 지식과 경험이 풍부하고 머리가 좋다. 도전자정신이 왕성하고 게임이나 도박을 즐긴다. 경제적으로 빈곤하지는 않지만 사회에 불만을 갖고 있어서 무언가 타인과는 다른 행위를 하여 ... ...
인공자장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퇴화되어 석회염류와 마그네슘 염류가 함유된 종유석모양의 응고물이 괸다)를 잘
살
펴보자. 이것은 어류, 양서류, 파충류 등의 경우 빛의 수용에 관계하는 기관이라 알려져 있다. 자율신경을 거쳐 내분비계에 영향을 미쳐 생물의 24시간 주기의 개일리듬(槪日·Circadian rhythm·생물체에 원래 갖춰진 ... ...
멸종위기의 이구아나 도마뱀 대량인공번식에 성공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컸다. 베르너박사는 인공부화시킨 새끼 도마뱀을 숲 속에서 자라게 하면서 적응력을
살
피고있다. 만약 모든게 잘되면 이구아나의 멸종도 막고 현지인들의 식탁도 보다 풍요롭게 할수 있을 것이다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