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생명
수명
운명
명령
비명
비문
d라이브러리
"
명
"(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연구 결과가 발표됐어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1958년에 태어난 아이 1만 7000
명
을 33살이 될 때까지의 과정을 추적했어요. 그 결과 자녀의 발달과 교육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는 아빠의 자녀가 훗날 공부도 잘하고, 성공적인 사회생활과 결혼생활을 했답니다.또 미국 뉴스쿨대학교 심리학과 ... ...
수학 유전자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학습장애를 초기에 예측하고 치료하는 데 관심이 있을 뿐이에요.울산과학기술대 생
명
과학부 박종화 교수“수학 유전자 찾기 프로젝트는 과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어요!”수학 유전자를 찾는 것은 똑똑한 유전자를 찾는 것과 같아요. 그런데 예를 들어 잠을 덜 자도 덜 피곤한 유전자를 갖고 있다고 ... ...
[박경미 교수의 수학캠핑] 선행학습의 감옥에 갇힌 학생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선택한 남성을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둘째, 네
명
의 남성이 네
명
의 흑갈색 머리의 여성에게 분산해서 접근하는 경우에는 여러 커플이 성사될 수 있다. 이 때 각 친구들의 만족감의 합은 두 번째 경우가 더 높을 것이다. 비록 금발 미녀는 아니지만, 춤을 못 추는 것보다 낫기 ... ...
[과학뉴스] 식물인간도 영화 볼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이미 “23세의 식물인간 여성이 의식적인 뇌활성을 보였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유
명
해졌다. 당시 연구팀은 식물인간에게 “테니스를 치고 있다고 상상해 보라”고 주문한 뒤 뇌의 활성패턴을 관찰했는데, 뇌의 ‘운동영역’이 건강한 사람과 마찬가지로 활성화됐던 것이다. 연구팀은 이와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공리주의 원칙에 따라 결정을 내린다. 이 인공지능을 탑재한 돌봄 로봇은 환자의 생
명
유지장치를 끌지 여부를 결정해야 할 상황에서 공리주의 규범에 따라 결정을 내릴 것이다. 이런 접근 방법은 사람의 사고체계와 비슷해 윤리적인 인공지능을 만드는 데 가장 옳은 방법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 ...
[시사] 살아 움직이는 미로 메이즈 러너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토마스는 친구들과의 법칙을 어기고 미로로 뛰어든다.‘반드시 러너가 되어야 해! 분
명
미로의 끝에는 탈출구가 있을 거야!’약 30m 높이의 거대한 미로는 이를 뒤덮은 넝쿨 식물과 어우러져 위압감을 넘어 공포감까지 느끼게 한다. 이 속에서 많은 우여곡절 끝에 결국 ‘러너’가 된 토마스는 친구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얼굴 플로레스인인도네시아 플로레스에서 발견된 의문의 화석,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일
명
'플로')는 어떨까. 플로는 여자인데, 두뇌가 인류 역사상 가장 조그마한 편이다. 용량이 450cc로, 오래 전에 살았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 스에 버금간다. 하지만 얼굴은 크게 다르다. 플로는 두뇌뿐 ... ...
[career] 나라 먹여 살릴 벤처 키운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말했다.“제2의 포스코 키우겠다”APGC는 2035년까지 동문 기업 500개 이상을 세우고, 30만
명
의 고용 창출과 총 매출액 100조 원을 달성하는 게 장기 목표다. 이런 목표를 통해 대학은 물론 궁극적으로 지역사회와 국가의 발전을 함께 도모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포스텍은 포스코가 1968년 포항 영일만의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IPDC)에 처음 참가해 최고상인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했다. 이 대회는 앞서 설
명
한 것처럼 기계적 퍼즐의 대가로 불리는 노부유키 요시가하라를 기리면서 퍼즐가들끼리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대회다. 안진후 학생은 올해 대회도 참가해 선외 가작(본상 외의 상)을 수상했다. 그가 밝히는 퍼즐의 묘미는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다양성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여기에도 진화가 개입했을 가능성이 크다. 뇌는 분
명
히 얼굴을 통해 사람을 구분하고 파악하는 쪽으로 ‘똑똑하게’ 진화했다. 하지만 그 동안 얼굴이 놀고만 있던 것은 아니다. 얼굴 역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방향으로 진화했다. 만약 얼굴 표정을 통해 자신의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