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버려지는 양파껍질로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만들었다. 금 전극 위에 양파 껍질을 입히고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고무(PDMS)등을 덧붙인 뒤 전선을 이었다. 그 결과 에너지 변환 효율이 61.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뭇잎이 바람에 움직이는 것 정도의 힘으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 만큼 민감했고, 여섯 개의 장치를 이용해 LED 전구 73개의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다. 올해 4월부터 참가자를 모집해 우수한 아이디어를 발굴한 뒤 이들이 실제 시제품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총 55개 팀이 참여한 가운데 서류와 발표 평가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였고, 올해 7월 본선에 진출할 8개 팀이 가려졌다. 나노 패터닝 기술로 금속의 색상을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물건을 배달하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며 “물건을 생산해서 분류하고, 적재한 뒤 고객의 손에 전달되는 모든 과정에 로봇 기술이 적용될 시대가 머지않았다”고 말했다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구분하기 때문이다. 딥미러의 성능이 궁금해졌다. 딥미러에게 기자의 이름을 알려준 뒤 카메라에 얼굴을 가까이 댔다. “이정아, 94%”라고 뜬다. 윤 책임연구원은 “70% 이상이면 본인으로 인식한다”며 “딥미러의 얼굴 인식률은 1000명 기준 99% 이상으로 꽤 높다”고 설명했다. 이번에는 미간에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전염병을 의심해 볼 수 있대. 그런데 다행히도 그 과학자 아저씨가 카메라를 가져온 뒤에는 새끼들이 집단으로 죽는 일은 생기지 않았어. 하지만 이런 대형사고는 예고 없이 갑자기 발생하기 때문에 자동모니터링카메라 시스템으로 꾸준히 감시하는 게 좋대. 펭귄 보호용 연구 필요수십 년 동안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등이 포함됐다. 특정 기간 논문의 평균 인용 횟수를 파악하고(피인용횟수), 논문 발표 뒤 10년간 피인용도가 상위 1%에 해당하는 논문 수를 조사하며(고피인용도 논문 수), 논문이 발표된 해에 얼마나 빨리 많은 연구자들에게 인용됐는지(즉시성 지수) 등을 통해 논문의 질적 수준을 일차적으로 판단할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용해 타임 슬립을 구현하는 방법은 이렇습니다. 특수한 물질을 이용해 웜홀을 만든 뒤, 한쪽 입구(A)는 현재에 두고 다른 쪽 입구(B)는 광속에 가깝게 멀어지게 합니다. 그러면 시간지연현상에 따라 광속으로 멀어지는 B에서는 시간이 매우 천천히 흐릅니다. 그러다 A와 B의 시간차가 18년이 됐을 때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준 내용을 정리해 미지의 질문자에게 답장을 보냈다. 두 번째 메일은 답장한 지 몇 시간 뒤에 도착했다. 이상한 사진은 첨부되어 있지 않았다. 어김없이 정중하고도 어색한 글뿐이었다. 『우리의 관측 장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안타깝게도 더 높은 해상도의 사진을 제공하는 것은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쑥쑥첫 번째 놀이는 ‘꼬인팔 풀기’였다. 왼팔이 오른팔 위로 오게 겹쳐 손을 잡은 뒤, 손을 놓지 않은 채로 꼬인팔을 풀어 모두 안쪽을 보게 해야 한다. 처음에는 2명씩 짝을 지어 시도했다. 학생들은 몸을 돌려가며 역동적으로 해결했다. 2명에서 시작한 놀이는 3명, 4명, …, 15명으로 인원을 ... ...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기원전 2000년쯤, 고대 이집트 나일강 근처에서 최초로 재배됐을 거라 추정돼요. 그 뒤 7세기에 인도, 10~11세기엔 중국을 거치며 전세계의 인기 식품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3세기, 고려시대 개성에 처음 재배된 것이 시작이었지요.사람들은 이렇게 오랜 기간 동안 점점 달고 큰 ... ...
이전3613623633643653663673683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