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길고 짧은 건 '단위'로 재봐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17세기 초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진자의 등시성(isochronism)을 발견했다. 진자의 길이가 같다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왔다 갔다하는 진폭을 달리해도 진동주기가 똑같다. 진폭을 크게 하면 진자가 더 빨리 움직이고 진폭을 줄이면 속도도 그에 맞춰 느려진다. 17세기 중반 네덜란드의 과학자 하위헌스는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빅데이터로 유권자의 마음을 훔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재선에 성공해 임기를 4년 연장했다.고도의 기술 필요빅데이터의 위력을 보고 가장 놀란 건 정치권이다. 전 세계 정당들이 오바마 캠프의 선거전략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빅데이터를 다루는 일이 호락호락하지 않다는 사실을 곧 깨달았다. 많은 양의 비정형 데이터를 처리하는 능력이 ...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 상단 구석 쪽을 응시하지 않는다. 많은 사람이 이를 거짓말의 증거로 여긴다.● 물건을 만지작거리지 않는다. 가책을 느끼면 불안해한다고 믿는 사람이 많다.● 경직돼서도 안 된다. 마음이 불편하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마음이 불편한 것이 꼭 거짓말을 증명하진 않지만, 그렇게 해석될 여지가 ... ...
- 동네 서점을 거니는 느낌으로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신중하게 추려냈다”고 밝혔다.(저자의 말에 따르면 편파적으로 고른) 물리학의 중요 사건들을 따라가다 보면, 고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져 온 물리학의 큰 줄기가 머릿속에 그려지는 느낌이 든다. 물론 세세한 내용은 알기 어렵다. 그러나 거대한 지식의 섬의 중심에 접근하려면, 겉에 보이는 숲의 ... ...
- [Life & Tech] 오빠랑, 홍대, 떡볶이, 맛집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빅데이터로 광고 글 거르는 맛집 검색 서비스스마트폰을 휙 낚아챈 소년이 띄운 건 일반 포털 검색창이 아닌 맛집 전용 검색 서비스입니다. “요새는 광고에도 ‘오빠랑’이 들어간다는 거, 여태 몰라? ‘블로거지’들이 얼마나 지능적인데. 우리에겐 빅데이터라는 첨단 문명이 있단다. 트렌드 좀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지름신’ 부르는 뇌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사용자 의견을 받고 있습니다. 여기엔 치명적인 단점이 있지요. 물건을 이용하거나 사건을 경험하는 도중에 일어나는 미세한 감정 변화를 놓칠 수밖에 없다는 점입니다. 경험하고 있는 와중에 계속 물어볼 수는 없잖아요. 뉴로마케팅은 뇌활동을 분석해 소비자가 어디에 집중하고 있는지, 어떤 ... ...
- [Hot Issue] 야동, 이제 웹하드엔 없어요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잘못 분류했다가는 큰 욕을 먹을 수 있어요. 그래서 로봇이 받은 음란물 중에서 중복되는 건 빼고 사람이 전수조사합니다.” 옆에선 아르바이트생들이 열심히 음란물을 보고 있었다. 1명이 하루에 1500~2000개에 이르는 영상을 봐야하니 바빴다. 화면 속 배우들도 숨 가빴다. 한 편당 10초면 판별 끝. 한 ... ...
- [Knowledge] 지질도 보면 싱크홀 피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1:50,000 축척의 기본지질도는 1960년대가 돼서야 만들어졌다. 1961년 당시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주도로 태백산에 매장된 석탄 개발을 위한 지질조사가 시작됐고, 1962년 ‘태백산지구 지질도’가 발간됐다. 이후 현재까지 남한지역에서 총 359개 구획 가운데 275개 지역의 지질도가 발간됐다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현상이에요. 음악은 잔향이 1.5~2.5초 정도 있는 것이 가장 듣기에 좋아요. 강성훈 대전보건대학교 방송콘텐츠과 교수는 경기용 권총을 이용해 동안경굴의 잔향을 실험했어요. 그 결과 우리나라에 있는 실내 콘서트홀에 비해 잔향 품질이 좋다는 것을 알아냈어요. 현무암으로 된 밀폐된 공간이 적절히 ... ...
- [수학뉴스] 스마트기기 쓰는 아기, 수학실력 ‘뚝’수학동아 l2015년 03호
- 그 결과 연구팀은 스마트기기를 자주 사용하면 수학, 과학, 언어 능력이 떨어지는 건 물론 아이 스스로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도 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단순히 영상을 보는 것뿐만 아니라 화면을 터치해 문제를 맞히는 어플리케이션도 아이에게 해롭다고 설명했습니다. 스마트기기를 통해 ... ...
이전3613623633643653663673683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