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과학자가 쉽게 부자 되는 법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2.14
세계최고 피인용지수를 자랑하는 독일 앙게반테케미, 미국의 젝스 등 정상급 화학
학술
지에 잇따라 논문을 게재했다. 세계 정상급 연구실적을 올리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정 센터장이 실험실에만 앉아 있는 외골수 과학자는 아니다. 생명공학기술을 IT, NT 등과 융합해 돈을 만들어 내는 ‘융복합 ... ...
“여성 연구 인력 많아야 멋진 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09.10.29
스템셀의 성장을 전기적으로 조절하는 연구를 하고있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 국제
학술
지에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국내외에서 120건의 특허를 받았다. 2006년에는 나오바이오융합연구클러스터단장을 맡아 11개의 기업과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는 등 산학연 연구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13
’를 달아 에이즈 바이러스의 유전자 활성을 억제하도록 했다. 이 연구는 지난해 8월 과학
학술
지 ‘셀’에 소개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자들이 뽑은 ‘2008 바이오 10대뉴스’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에 앞선 2007년에는 뇌 질환 치료의 난제로 꼽혀온 ‘혈액 내장벽(Blood Brain Barrier)’ 문제를 해결했다. ... ...
“한국을 역분화 줄기세포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09.09.14
겸임교수 및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동물발생공학연구실 실장 2003년: 로얀국제
학술
상 최우수상 수상 2006년: 생명연 전략연구본부 본부장 2006~ 현재: KAIST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교수 --------------------------------------------------------------------------------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 ...
“효율적인 연구인력 관리가 성과의 지름길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09.08.18
정 교수는 2006년 파킨슨병을 일으키는 유전자의 기능을 세계 최초로 밝혀내 영국 과학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듬해엔 당뇨병과 비만 조절 유전자로 알려진 ‘AMPK’가 손상된 세포의 기능을 회복시켜 암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 또 한번 네이처에 게재했다. 현재 정 교수는 AMPK ... ...
“의사도 연구 안하면 경쟁력 잃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09.07.21
년 나노 화학자와 공동으로 선명한 자기공명영상(MRI)용 초감도 나노조영제를 개발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메디신’에 발표한 경험이 있다. 당시 융합연구를 한 경험은 연구소 설립 과정에 중요한 밑거름이 됐다. 연구소가 설립됐지만 넘어야할 산은 더 있다. 연구소를 이용할 의사와 과학자들이 ... ...
“신약 개발 성공하려면 변리사부터 뽑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6.16
연구하는 입장에선 기업에서 똑같은 아이디어로 특허를 내도 큰 문제가 없다.
학술
적 성과는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업들은 과학자들이 같은 연구성과를 내면 쾌재를 부른다. 이미 지적재산권을 가지고 있으니, 과학적 연구가 이뤄질 경우 그 성과를 십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 박사는 ... ...
“기초과학 맹신말고 산업화 능력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5.29
사업화 역량 강화에 주력해 발전을 이뤘다“고 소개했다. 한 스탠퍼드대 연구원은 “유력
학술
지에 한국인 생명과학자 이름이 빠지는 달이 없을 정도로 기초과학역량은 탄탄해졌다”면서 “지금 부족한 것은 사업노하우”라고 설명했다. 세계적인 경기침체 영향은 BT업계 역시 마찬가지다. 올해 ... ...
“생명과학기술과 생명윤리는 동전의 양면”
동아사이언스
l
2009.05.21
반색했다. “최근 줄기세포 연구자들에게서 국내 연구동향을 전해 들었습니다. 국제
학술
지에 발표한 논문 수가 2005년엔 한국이 3위 정도였는데, 지금은 10위 밖으로 밀려났다고 해요. 세계적으로 앞서 있던 한국의 줄기세포 연구가 뒤쳐지기 시작했다는 거죠.” 최근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전 ... ...
“미국에 바이오 정책센터 만들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5.21
시장에 진출시키는 일은 지식경제부와 논의하에 추진해야 할 일”이라며 “6월에 현
학술
재단과 과학재단이 합쳐지면 기초, 산업분야의 균형있는 지원을 위해 최선을 다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참석자들과의 자유토론에서 한국 BT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이 개진됐다. 박항식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