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손상
재해
해
해독
악영향
폐
d라이브러리
"
위해
"(으)로 총 16,956건 검색되었습니다.
노약자를 위한 로봇에 힘을 싣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만들었어요"●정 : 휠체어가 특이하게 생겼네요?●김근욱 연구원(이하 김) : 미는 사람을
위해
개발한 ‘에어카트 휠체어’예요. 저와 이호태 연구원 등 5명의 네이버랩스 인턴들이 6개월간 제작해 이번 HRI 국제컨퍼런스에 처음 공개하는 거죠. 이 휠체어는 옆에서도 밀 수 있어서 미는 사람과 타는 ... ...
축제에 웬 귀신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이처럼 파일을 복구하는 일은 범죄 수사에서 많이 쓰여요. 수사관은 범죄의 증거를 찾기
위해
증거가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컴퓨터와 휴대폰에서 지워진 파일을 복구하지요. 이처럼 데이터 복구 등의 방법으로 디지털 증거를 수집하고 분석해 범죄 단서를 찾는 수사 기법을 ‘디지털 포렌식’이라고 ... ...
아폴로 1호, 비운의 우주비행사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거스 그리섬을 포함한 NASA 우주비행사 세 명은 향후 발사될 사령선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사령선 내부에 탑승했다. 그 순간 내부에서 불길이 치솟았다. 해치를 열지 못한 세 명은 15초 만에 모두 사망했다. 발화 원인은 전원 공급 시 발생한 스파크였다. 일반적으로는 스파크 정도의 작은 불꽃이 ... ...
피플┃천문우주학도는 왜 우주 스타트업을 차렸나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2014년 미국의 민간 위성기업 플래닛 랩스(Planet Labs)가 지구 전체를 고해상도로 촬영하기
위해
초소형 위성 28기를 발사하는 등 초소형 위성은 2010년대 초부터 상업적 가능성을 인정받으며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유럽의 위성분석기관 나노샛츠 데이터베이스(Nanosats Database)는 2019년 한 해에만 ... ...
걱정이던 자율주행차 안전 '힐베르트 문제'로 해결!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첨단 기술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다항식이 음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했던 기존 방식이 복잡한 문제를 계산하는 것이었다면, 연구팀은 상대적으로 풀기 쉬운 여러 개의 식을 연립해서 푸는 방식을 제시했습니다. 그리고 이 방식을 이용하면 훨씬 빠르게 다항식이 음이 ... ...
[수학미술관] 19세기 예술가의 뮤즈는 수학! 더 뮤즈 : 드가 to 가우디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개발하면서 해결됩니다. 점묘법은 즉흥적으로 붓질을 하지 않고 원하는 색을 표현하기
위해
정확하게 계산한 후 점을 찍어 그림을 그리는 방법입니다.여러 색의 작은 점이 만들어낸 패턴은 그림을 보는 위치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여줍니다. 가까이서 보면 그저 무수히 많은 점의 집합이지만, 조금 ... ...
탐험┃중국, 달 뒷면 찍고, 다음은 화성으로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도착해도 지구와 직접 교신할 수 없다는 기술적인 문제도 있었다. 중국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18년 5월 통신 중계위성인 췌차오(오작교)를 달에서 6만5000km 떨어진 궤도에 미리 올려놨다. 창어 4호는 지금도 췌차오를 통해 지구로 데이터를 보내고 있다. 창어 4호에 실려 있던 로버 위투(옥토끼) 2호는 ... ...
탐험┃소행성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2020년 성간 우주로 진입할 예정이다. 한편 JAXA는 인류의 기원과 물의 기원을 알아내기
위해
2014년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 2호를 발사했다. 하야부사 2호는 2018년 6월 당시 지구에서 약 2억8000만km 떨어져 있던 소행성 162173 류구 상공에 도착했다. 류구는 바둑판 모양의 원시 소행성으로 태양계 형성 ... ...
교육 로봇은 어떻게 어린이와 친해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먼저 만들어요. 개발 과정에서 시험용으로 만드는 거죠. 즉, 프로토타입은 실패하기
위해
만드는 거랍니다. 여러분도 실패를 두려워하지 마세요! 실패를 통해 얻는 교훈으로 성장할 수 있으니까요 ... ...
[시사과학]벚꽃 피는 시기, 점점 빨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겨울과 초봄의 기온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든요. 꽃눈은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해
겨울잠 상태에 들어가요. 이때 각 식물은 정해진 기온과 시간만큼 추위에 견딘 뒤 겨울잠에서 깨지요. 이런 기준을 ‘저온 요구도’라고 한답니다. 그래서 강한 추위가 찾아오면 식물은 빨리 겨울잠에서 깨지요.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