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스틱자전거 vs 강관자전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일도 있었지만 그것만으로 이미 쇠퇴해가는 플라스틱자전거를 구하기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1985년 플라스틱자전거는 생산이 완전히 중단됐다.무엇이 잘못됐던 것일까. 우선 자전거 시장이 포화상태였다. 자동차회사인 볼보에서 소형자동차를 개발하다가 플라스틱자전거 개발로 방향을 바꾼 라스 ... ...
신이 내린 선물 곰팡이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포자에서 다시 곰팡이가 자라나고 이 곰팡이가 곤충 내부의 구조물을 공격하고 분해해
결국
곤충이 죽게 된다. 대부분의 곤충병원성 곰팡이는 이런 공격 기술을 이용한다.곤충을 죽이는 곰팡이는 주로 깊은 산속처럼 사람의 손길이 잘 닿지 않은 곳에서 관찰된다.이 때문에 필자는 20여년 동안 ... ...
화상전화기 vs 음성전화기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피츠버그에서의 실패로 1973년 AT&T는 두 번째 화상전화기 모델 상용화 계획을 포기했다.
결국
뉴욕 박람회장을 화려하게 수놓았던 화상전화기는 그 짧은 생을 마감하고 말았다. 1978년 무렵에는 화상전화기를 보기 위해 뉴욕의 벨연구소를 방문해야만 했다.공학자들은 AT&T의 화상전화기가 시대를 너무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경숙이 그를 비난하게 되고 정욱은 “자식 사랑과 집착을 착각하지 말라”며 떠난다.
결국
경숙은 초원의 마라톤 출전을 포기하지만 경기 당일 초원은 혼자 경기장으로 향한다. 뒤늦게 경기장으로 달려간 경숙과 정욱은 초원을 격려하고 초원은 마침내 완주에 성공한다. 영화 제목 ‘말아톤’은 ... ...
안 봐도 보이는 모자 색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한다. 만약 A가 빨간 모자라면 C는 B가 흰 모자를 쓰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으므로
결국
A는 흰 모자를 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논리 퍼즐의 전형이라 할 만한 이 문제는 일본의 다고 아키라가 쓴 ‘두뇌의 체조’ 시리즈 제1권에 실려 있는데, 책이 처음 나왔던 1966년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인기를 ... ...
3. 디자인이 매뉴얼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그후 견본품을 들고 유명 기업을 다니며 설명했지만 아무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결국
그는 사재를 털어 회사를 설립해 직접 제품화했다. 1993년 초기 제품을 개량한 ‘듀얼 사이클론 진공청소기’가 출시되면서 다이슨사는 급성장해 전세계 청소기 시장을 점령했다. 큰 먼지는 필터가 달린 바깥쪽 ... ...
돈 잘 버는 사람이 최고 공학자 박희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일본 기업이 가격을 20%나 낮추고 일본에서 만든 ‘국산’ 제품을 쓰자고 호소해도
결국
우리가 이겼습니다. 요즘 일본 회사가 자사 제품을 ‘에스엔유프리시전 만큼은 된다’고 홍보합니다.”박 사장이 창업 당시를 회고며 들려준 이야기 한 토막. 미국에 가면 흑인이나 히스패닉(중남미) 사람들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잘 결합한다. Pfr 피토크롬과 NDPK2가 만나면 화학반응의 다음 단계로 신호가 전달된다.
결국
PAPP5가 피토크롬의 인산화 상태를 조절해 빛 전달에 관여하는 중간물질에 대한 결합력을 좌지우지하는 셈이다. 식물체 내에 있는 수많은 피토크롬 중 활성화 상태인 것이 많을수록, 또 그 중 인산기가 떨어져 ... ...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이 은하는 우리 은하와 대마젤란은하가 잡아당기는 중력 때문에 모양이 비틀리고 있다.
결국
소마젤란은하는 갈가리 찢겨 우리 은하에 잡아먹힐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소마젤란은하처럼 작고 못생긴 은하들은 우주 초기에 더 흔했다. 하지만 이런 작은 은하들이 합쳐져 현재의 큰 은하를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이해하게 됨에 따라 또다른 차원에서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을 고민하게 될 것이다.
결국
뇌의 이해는 뇌를 닮은 산물을 낳을 것이고, 그 산물과 우리의 모습은 점점 더 닮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아직까지는 너무나 섣부른 기우일는지 모르나, ‘바이센티니얼맨’이나 ‘A.I.’와 같은 SF영화들이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