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03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01
볼 수 없는 부작용을 초래했다.다음은 직립하면서 변화한 비교해부학적 특징들을 살펴
보자
.① 척추가 S자 모양을 해 직립이 가능한 형태로 바뀌어 갔다.② 안면각(턱과 이마가 이루는 각)이 커졌고(그림1) 상대적으로 얼굴이 차지하는 면적이 좁아(작아)졌다.③ 대뇌의 앞쪽이 커지고 결과적으로 ... ...
신경망군과 퍼지양의 「결혼」
과학동아
l
199101
정해지지 않은 것도 있다. 끝으로 퓨전의 여러 연구분야중 패턴인식에 대해 간단히 알아
보자
.퍼지를 이용해 패턴인식을 할 때는 입력되는 물체의 몇가지 특징을 파악, 이 특징에 따라 구분해 나간다. 여기서 퍼지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이유는 그 특징 자체에 애매한 내용이 많이 포함돼 있기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
과학동아
l
199101
천체사진촬영은 의외의 흥미를 줄지도 모른다. 지금 간단한 준비로 당장 시도해
보자
.다음에는 보다 전문적인, 망원경을 이용한 피지백 방식에 의한 천체사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다.서울대 천문대 24인치 반사망원경 가동-관측 천문학 발전에 기여할 듯서울대 천문대에 전자동 24인치 ... ...
열등의식의 해소수단으로
과학동아
l
199101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청소년비행의 저변에 깔린 심리와 비행의 유형에 대해 살펴
보자
.격동기의 풍랑을 헤치며인생을 통틀어 가장 즐거웠고 행복했던 때를 회상해 보라고 한다면 십중팔구 국민학교 시절 천진난만하게 뛰어놀던 시절을 떠올린다. 이렇듯 내적 심리적 갈등이 비교적 적고 평온한 ... ...
과학기술처 김진현 장관
과학동아
l
199101
과학화'라는 표현에 방점이 찍혀 있음을 쉽게 느낄 수 있었다. 그의 설명을 들어
보자
."이제 과학기술정책은 국민의 동의 없이 추진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닙니다. 우선 최근의 과학기술 관련 프로젝트는 워낙 대형이기 때문에 예산이 많이 들어갑니다. 한두푼도 아닌 돈을 쓰는데 '주인'의 동의없이 ... ...
태양만 뜨겁게 작열하는 수성(Mercury)
과학동아
l
199101
가장 가까울 때, 즉 근일점(近日点)에 있을때 수성의 적도 부근에 사람이 서있다고 상상해
보자
. 그가 느끼는 온도는 어떠할까. 태양이 그의 머리 위에 왔을 때, 즉 수성의 정오경의 온도는 약 4백30℃까지 올라갈 것이다. 이 온도는 온실효과 때문에 4백70℃까지 올라가는 금성 다음으로 행성중에서 ... ...
남쪽하늘의 거대한 방패연
과학동아
l
199101
오각형 안에는 쌍안경으로도 관측가능한 몇개의 산개성단이 있으니 쌍안경으로 꼭 살펴
보자
.그 외에도 오리온좌 근처에 있는 에리다누스좌와 토끼좌 등이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 아마추어 천문협회(KAAA, The Korean Amateur Astronomical Association)로 문의. (전화 790-0340 ... ...
금속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101
약에 함유돼 있다. 지금부터 금속이 우리의 건강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펴
보자
.자연계의 1백3가지 원소중에서 생물에게 필요불가결한 원소를 필수원소라고 한다. 생체에서 양적으로 많은 비율을 점하고 있는 원소를 꼽으면 유기물의 주요구성원소인 수소(H) 탄소(C) 질소(N) 산소(O) 인(P) 황(S) ... ...
일본의 기술
과학동아
l
199101
않도록 만들어 초전도체의 실용적 가능성을 그만큼 높이는 것이다.주제를 약간 바꾸어
보자
. 이젠 고인이 된 유명한 로켓 기술자인 윌리 레이는 약 35년전에 "기술자의 꿈"이라는 책을 펴냈었다. 이 책에서 그는 사막을 개간하고 홍수를 막고 새로운 고속도로를 만드는 등 지구표면에 변화를 가하는 ... ...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12
물질과 그림자세계의 관련성 살피기에 앞서 어두운 물질의 존재를 더 확실하게 알아
보자
.어두운 물질이 실존한다는 가장 믿을만한 증거는 소용돌이은하가 제시한다. 소용돌이은하 둘레에는 수많은 별들이 그 중심 언저리를 맴돈다.여기서 우리가 역학(力學)을 통해 잘 알고 있는 기초공식 하나를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