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뉴스
"
아래
"(으)로 총 3,9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지혈증 막아주는 식품, 오메가 -3 지방산의 ‘비밀’
동아닷컴
l
2015.02.10
줄이고 수치가 좋아질 때까지 술을 끊고 오메가-3 지방산을 섭취하면 좋게 작용한다.
아래
는 고지혈증 막아주는 식품 5가지이다. 첫째 양파. 텍사스 A&M 대학 연구팀은 매일 양파 반쪽 이상을 먹은 사람은 좋은 콜레스테롤(HDL)이 30% 증가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또 양파가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 ...
지구 내핵에 또 다른 내핵 있다
2015.02.10
껍질에 해당하는 지표는 35km 정도에 불과하다. 지표 밑에는 두꺼운 맨틀이 있고 그
아래
엔 외핵과 내핵이 존재한다. 지금까지 내핵은 반지름이 달(1700km)보다 조금 작은 1300km 정도이며 고체 상태의 철 덩어리로 존재한다고 알려졌다. 이번에 연구진은 내핵이 상부 내핵과 하부 내핵으로 다시 한번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물 대부분이 바닷물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정말 관찰력이 뛰어난 독자라면 작은 물방울
아래
이 문장의 마침표만큼 정말 작은 또 하나의 물방울을 발견했을 것이다. 이건 강물과 호수물만 합친 것이다. 민물 대부분이 지하수란 말이다. 일러스트를 보면 지구의 물이 얼마 안 되는 것 같지만 전체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공기방울 실시간 관찰 성공
2015.02.08
합쳐지는 과정(가운데)과 서로 크기가 비슷한 나노공기방울이 합쳐지는 과정(맨
아래
) - 서울대학교 제공 국내 연구팀이 수 나노미터(nm) 크기에 불과한 나노공기방울의 생성과 소멸 과정을 실시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홍병희 서울대 화학부 교수가 주도하고, 조성표 기초과학공동기기원 교수, ... ...
테크노마트 진동과 인간의 본능
2015.02.08
할 때 사람의 몸이 위
아래
로 덜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사람이 걸을 때 몸이 위
아래
로 움직이는 이유는 발로 지면을 누르면서 이동하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다리가 흔들리면서 인체가 지면을 밀어내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5%를 절약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즉, 다리 위를 걷고 있던 ... ...
[직접 가봤습니다, ‘제2 롯데월드’ 96층] 안전성 문제 없나
2015.02.06
위치 확인 건물 입구에서 안전모를 쓰고 96층으로 향하는 길은 험난했다. 안전망 사이로
아래
가 훤히 내려다보이는 건설용 ‘호이스트’(공사용 엘리베이터)를 타고 90층까지 올라갔다. 나머지 6층은 건물 내부에 설치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갔다. “현재 지상에서 400m쯤 올라와 있습니다. 미국 ... ...
아이 러브 ♥ 고기
2015.01.28
붙은 170만 년 전의 화석인데, 사망 시기를 전후로 뼈가 비정상적으로 굵어져 있었습니다(
아래
사진). 인류학자들은 뼈에 출혈이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출혈이 일어난 이유로는 비타민 A 과다증을 꼽았고요. 이상한 것은 여기부터입니다. 비타민 A 과다증은 육식 동물의 간을 너무 많이 ... ...
어린시절 방치하면 뇌가 망가진다
2015.01.28
방치된 채 자란 아이들은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뇌량(corpus callosum)’ 부위가 부모
아래
에서 자란 아이들에 비해 발달이 덜 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동기와 정서를 담당하는 변연계와 감각 처리를 담당하는 부위 등 전반적인 뇌의 백질 발달이 불완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열악한 ... ...
블록은 이런 데도 쓸 수 있답니다
2015.01.26
국내 연구진이 해수담수화 기술에 쓰이는 분리막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현재 해수담수화 기술로는 바닷물을 분리막에 투과시켜 염분을 ... 않지만 이번에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로 분리막을 제작하면 표면이 균일한 분리막(
아래
사진)을 제작할 수 있다. - 고려대 제공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2015.01.25
스크린에 도달한 빛이 오히려 커지는 거다. 밀가루 반죽을 옆에서 강하게 누르면
아래
위로 튀어나오는 거랑 비슷하다. 이것을 빛의 회절이라 부른다. 빛은 광자라는 입자이기도 하다. 구멍이 작아진다는 것은 광자가 지나가는 위치를 점점 정확히 알게 된다는 뜻이다. 하지만 구멍이 작아질수록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