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뉴스
"
사용
"(으)로 총 1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로 청소년 SNS
사용
증가...영향 연구는 ‘들쭉날쭉’
동아사이언스
l
2023.02.27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선 신경과학이나 발달심리학에서
사용
하는 ‘개인맞춤형’ 연구 방법론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진단이다. 정밀한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자기공명영상(MRI)과 같이 뇌의 변화를 확인하는 기기 활용 필요성도 높아졌다. 게르트-잔 윌 영국 ... ...
세계 최초 3D 프린팅 우주로켓 내달 8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3.02.26
팰컨9과 비슷하다. 팰컨 9이 1단만 재
사용
하는 방식인 반면 테란 R은 로켓 전체를 재
사용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지구 저궤도로 약 2만kg를 보낼 수 있다. 2024년 발사 예정이다. 현재 스페이스X 다음으로 시장 평가액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NH투자증권·한화에어로스페이스·칸서스자산운용 ... ...
[커버링클라이밋나우] 기후변화로 '생리용품' 값 올랐다...보험료도 뛸듯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낮았다. 지난해 11월 전국 평균기온은 역대 네번째로 높았다. 떨어진 기온만큼 가스
사용
량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기후변화는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 고공행진을 이끌고 있다. 기후변화로 보험 가격이 높아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기후변화로 인한 폭우나 폭설 등 이상기후 현상이 늘어나면 ... ...
살아있는 동물에서 저절로 전극이 만들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섬세한 생체 조직과 호환되지 않는 단단한 전자 기판을
사용
하다보니 신체에 부상과 염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고정된 고체 상태의 전자 재료와 동적이며 부드러운 생물학적 조직 사이 비호환성을 극복하는 것은 어려운 일로 여겨졌다. 연구팀은 효소와 ... ...
양자컴 걸림돌 '큐비트 오류율' 낮췄다..."획기적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오류율이다. 이승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연산에
사용
하는 큐비트를 늘리면서 오류율을 줄이는 것은 양자컴퓨터 실현 조건 중 하나"라며 “이번 연구는 큐비트의 숫자를 늘리고도 오류율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처음으로 증명한 획기적 결과"라고 말했다. ... ...
옷 안에 착용하는 보행 보조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최근 보행 보조로봇이 고령화시대 블루오션으로 꼽히지만 부가장치와 부피 문제로
사용
자 부담이 커 옷 안에 착용 가능한 보조로봇을 개발했다”며 “고성능 모터 구동기를 활용한 보행 보조로봇 개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 ...
전기 전도성·강성·가벼움·유연성 모두 갖춘 '슈퍼섬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전도도가 구리 전선의 약 90%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전기 전도성에도 금속을
사용
하지 않아 유연하고 부식되지 않으며 구리 전선 대비 무게도 약 30% 수준으로 가볍다. 연구팀은 “의료용 로봇, 친환경 모빌리티, 항공우주 등 다양한 분야의 차세대 전선에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 ...
[오늘과학] 진동 캡슐이 변비 환자 희소식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을 느꼈다고 보고했지만 계속해서 캡슐을
사용
하는 데 지장이 있지는 않았고 대다수는
사용
하기 쉬웠다고 답했다. 연구팀은 캡슐이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만큼 환자별 식사 일정 등 하루 일과에 맞게 개인화하는 것을 연구하고 있다. 또 음식이 위장에서 소장으로 이동하는 것을 늦추거나 ... ...
모터 등 회전기기 결함 탐지하는 AI…"스마트팩토리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장비·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유지·보수 전략을 결정하는데
사용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회전기기의 결함을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AI)을 개발한 이승철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왼쪽)와 김태완 포스텍 기계공학과 석·박사 통합과정 연구원 ... ...
머리카락 100분의 1 크기 픽셀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구조체 제작 등에 널리 쓰이는 기술이다. 그러나 LED와 같은 발광체 위에 집속 이온 빔을
사용
하면 빔을 맞은 부분과 그 주변 영역의 발광이 급격히 감소해 나노 발광 구조를 제작하는 데 장벽으로 작용된다. 조 교수팀은 이런 문제를 역발상으로 이용해 마이크로미터 스케일의 초미세 픽셀화 방식에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