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아
자체
도자기
도기
자기자신
본인
d라이브러리
"
자기
"(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결합은 억제되어 유리표지 호르몬 양이 증가한다 일부 원자핵이 자연적으로 입자나 전
자기
파를 방출하여 다른 원자핵으로 변하는 현상 전자포착 · 내부전환에는 핵외의 궤도전자가 필요하며 엄밀하게 말하면 원자의 붕괴를 수반한다또 자발적 핵분열도 방사성 붕괴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밖에서 ... ...
우주에서 보낸 '핼러윈 데이'의 메시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날씨에 어둠 속을 떠도는 유령신세가 됐다. 다행히 잭은 저승사자에게 불씨 하나를 얻어
자기
가 먹던 무 속에 집어넣고 등불처럼 들고 다녔다. 이것이 핼러윈의 상징인 ‘잭 오 랜턴’이라고 한다.천국과 지옥 사이를 떠돌던 유령 잭이 어두운 우주공간에 남긴 흔적이 혹시 스피처가 찍은 사진의 ... ...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筋緊張) 등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생리활동이나 뇌파(腦波)는 큰 변화를 제외하고는
자기
의 의지로 강하게 혹은 약하게 하거나 멈추게 하는 등의 제어를 할 수 없는 불수의활동(不隨意活動)들이다 세균 · 곰팡이 · 바이러스 등 미생물을 취급할 때 생기는 감염재해(感梁災害) 생물재해라고도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방출하는 과정이 대표적이다. 이때 관여하는 힘이 약한 상호작용, 즉 약력이다.스핀(spin)
자기
장의 영향을 받는 입자의 성질을 표현하는 용어. 팽이가 도는 방향이 두가지인 것처럼 전자의 경우 두가지 스핀이 있다. 방향에 따라 ‘왼손잡이’ 전자와 ‘오른손잡이’ 전자로 구분한다.쿼크(quark ... ...
자성측정기 MPMS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외부
자기
장을 바깥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MPMS에 시료를 넣고 조금씩 움직여주면 주변
자기
장의 세기가 변하는데 이를 측정해 초전도체 여부를 알아내는 것이다. 액체 질소로 냉각시킨 자석 위에 초전도체를 놓으면 초전도체가 자석 위로 떨어지지 않고 공중에 떠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캠프에 ... ...
나노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현재 정 교수팀이 개발한 나노구조체를 갖고 KAIST 물리학과 신성철 교수팀이 고밀도
자기
기록소자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혼자 연구하던 시대는 지났습니다. 혁신적인 결과가 나오려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해야 합니다.”그래서일까. 유기구조재료를 전공한 정 교수이지만 ... ...
B형 남자는 바람둥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힘들다”고 말했다.혈액형 성격학이 지금처럼 널리 퍼지면 심리학에서 말하는 ‘
자기
충족적 예언’이 현실로 나타날 수 있다. B형이 제멋대로인 성격이라고 정의된다고 하자. B형인 사람은 무심코 제멋대로인 행동을 저지른 뒤 “내가 B형이 맞구나”라며 계속 그 행동을 하게 된다. 다른 사람들도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그렇지 못하면 아무리 감도가 뛰어난 생체분자도 센서로서 무용지물이다.생체분자처럼
자기
가 알아보는 분자하고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부분을 ‘1차 트랜스듀서’ 라 부르고, 분자간의 결합을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부분을 ‘2차 트랜스듀서’ 라 한다. 지난 10-20년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반응하는지 대해 2001년부터 연구해왔다. 브라질 도르병원 호르헤 몰 박사 연구팀도
자기
공명영상(MRI) 장치를 이용해 도덕적 판단을 할 때 뇌의 반응을 조사하고 있다.한편에서는 체온이나 얼굴 표정, 시선의 변화로 거짓말 여부를 탐지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 미네소타의대 연구팀은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병소를 찾은 뒤 약물을 터뜨리는 나노입자를 설계하는 연구가 한창이다.한편 생체분자의
자기
조립화 메커니즘을 응용해 새로운 나노소재를 만드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DNA, 단백질로 만든 나노튜브와 나노벽돌, 나노격자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현재의 연구결과들이 하나둘 실용화되기 시작하면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