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이시구로 교수는 2013년 11월 일본 오사카의 타카시마야백화점 의류 코너에서 2주 동
안
제미노이드 F가 직접 손님을 응대하도록 하고 사람들의 반응을 관찰했다. 사람이 표정을 짓고 말을 하면 원격조종으로 제미노이드 F가 표정을 따라하고 말을했다. 손님들은 신기해하면서도 한편으로는 ... ...
[Career] 마음 흔드는 가시화기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모형을 만들고 바람을 통과시켜 실험할 수 있지만(풍동실험) 시간과 돈이 많이 든다. 대
안
으로 나온 게 컴퓨터로 실험하는 가상풍동 기술이다.만약 이 기술로 얻은 자료를 눈으로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바람의 흐름, 요동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 ...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적은 것에 대해서는 잘 숙지하고 가야 합니다.]허충길 해서는
안
되는 규칙들이 너무 많기 때문이에요. 개발자가 규칙들을 다 인지할 수가 없으니까 알 수 없는 버그가 생기는 겁니다. 이건 프로그램의 정확성과도 연결될 수 있는 문제죠.이선민 구체적으로 어떤 규칙들을 ... ...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받지 않을까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았어요. 실제로 4월 16일 아침 8시 반부터 약 10시간 동
안
아소산 중앙 분화구가 분화해 많은 사람을 놀라게 만들었지요.19일 일본 교토대학교의 지진연구소에서는 지진으로 인해 분화구 주변에 발생한 산사태가 아소산 아래 마그마방의 화산가스나 수증기를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비슷한 현상에 대한 이론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는 관련 있는 이론을 통합하자고 제
안
했고, 이것이 ‘랭글랜즈 프로그램’이다. 즉 수학의 서로 다른 분야를 가로지르면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현상과 그 연관성을 연구해 수학을 통합하자는 것이다. 도움 : 엄상일(KAIST 수리과학과 교수),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그쪽으로 달려가서 보내고 싶은 방향으로 칩니다. 액체의 운동을 다루는 유체역학을
안
다고 수영을 잘하는 것도 아니에요. 원리는 알지만 실전하고는 전혀 상관이 없어요. 하하.”마지막으로 수학을 잘하는 비법을 알려달라고 슬쩍 부탁해봤다.“저도 늘 고민이에요. 어떻게 하면 수학을 더 잘할 수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실은 2020년까지 경보 시간을 10초 이내로 단축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국가재난
안
전통신망과 국민들의 스마트폰을 통합해 스마트폰 앱으로 지진을 경보하는 기술이다. 이번 지진을 교훈삼아 부디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기를 바란다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과정이 지나치게 단순했다. 그 주의 아스트로-런치에서 필자는 아예 마음을 먹고 15분 동
안
그 논문을 신랄하게 비판했다.그런데 한 달 뒤 아스트로-런치에서 같은 연구원소속의 라파엘 고밧이라는 연구자가 비슷한 논문을 소개했다. 실망스럽긴 마찬가지였지만, 고밧 연구원의 한 마디에 귀가 번쩍 ... ...
[Knowledge] 수컷 침팬지는 폭력의 대명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서열의 침팬지가 자신의 먹이나 암컷을 노리거나 권위에 도전했을 때 그냥 간과해선
안
된다. 도전을 용인하는 행동 자체가 자신의 서열을 내어주는 결과를 초래하고, 서열이 계속 낮아지면 생존과 번식을 위한 필수 경쟁에서 뒤쳐지기 때문이다. 집단 사냥으로 얻은 고기나 주변의 잘 익은 과일을 ...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또는 손에 들고 모양을 바꾸면서 연주한다. 그래서 이 악기를 연주하려면 악보가 아니라,
안
무가 필요하다. 말로슈는 사람의 행위가 음악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이 악기를 만들었다고 2014년에 열린 NIME(음악적 표현 인터페이스) 국제학회에서 밝혔다. 그래서일까. 스파인으로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