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남해안 겨울철새 타마사를 마치고「산교육」의 좋은 기회였읍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좋지 않겠읍니까? 숲을 만드는 방법도 있겠지요. 윤 : 대단히 좋은 생각입니다. 버려진
땅
이 많은 을숙도 등에 달풀(갈대의 일종)이나 찔레나무 같은 재래종 종자식물 또는 오리가 좋아하는 보리 밀 밭벼 등을 심어두면 철새들의 훌륭한 먹이나 잠자리, 은신처가 될 것입니다. 김 : 이번 탐사는 ... ...
「컴퓨터 문명」시대가 오고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보낸다. 월매가 알고싶었던 것은 '이도령이 서울에 가서 과거에 급제했는지' '언제나 남원
땅
에 올것인지' '온다고 해도 춘향이를 구해줄 수 있는지' 등이 궁금하였고 그것에 대한 확실한 답을 이도령으로부터 받고 싶었다. 방자란 녀석은 편지를 받아들고 바람처럼 달려가 기쁜 소식 받아들고 ... ...
해시계에서 불시계까지 시계의 발달 시계의 발달①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짧았고, 해가 서쪽으로 기울어갈수록 그늘은 길어졌다. 나무그늘, 서있는 사람의 그림자,
땅
을 향해 수직으로 선 기둥들의 그림자는 태양의 시간을 재고 있었다.●-해시계가 정한 로마의 출근시간그림자가 있는 것이면 모두 태양의 시간을 잴 수 있다는 사실은 단순하지만 놀라왔다. 사람들은 이를 ... ...
PART 1 인류진화의 새이론 검은피부의 「이브」가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와 탄자니아에서 발굴된 '라에트리' 발자국에서 입증됐다. 이들은 작은 뇌를 가졌지만
땅
위에서 생활했고 직립보행을 했으며 나무나 자연물을 도구로 사용했다고 추정된다. 그후 '루시'와 비슷하지만 뇌용량이 보다 큰 '호모하빌리스'가 1백75만년전까지 살았다. 1백50만년전부터는 오늘날의 인간의 ... ...
제3의 의학이 생겨날 것인가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결합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요즘 한의원을 가보면 맥진계(pulse wave diagnostic graph)를 이용해 맥박을 재는 모습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기요법 등 한방치료에 여러가지의 의료기기들이 이 ... 있는 범세계적인 높은 차원의 의학, 에큐메니칼한 진정한 의미의 하나의 세계의학을 이
땅
위에 세워보자는 것이다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많은 기지들이 모여 있다. 우리나라가 거의 마지막으로 이곳에서 여름철에 눈녹는
땅
을 차지함으로써 앞으로 킹조지섬에는 더 이상의 기지후보지가 없다는 것이 킹조지섬의 대부격인 칠레기지장 '후안 바스티아스 실바'사령관의 분석이다. 기지주변엔 펭귄들이 상륙해 한가하게 노닐었고 물개들도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다음과 같이 말할 것이다. "인간들은 처음에는 나무를 잘라 사용했다. 그런 다음에는
땅
을 파헤치기 시작하더니 석탄과 석유, 천연가스 그리고 천연우라늄을 사용했다. 수십억년 동안 저장되어 왔던 것이 순식간에 재생불가능하게 없어지고 말았다. 게다가 생명세계를 점차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 ...
옛 괴물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해나간다. 타조는 살아있는 새들중에서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새이다. 긴 목까지 합쳐서
땅
끝에서 머리까지의 길이는 8피트이고 무게는 2백80파운드로 시속 40마일의 속력으로 달릴 수 있다. 그러나 몇 세기 전만 해도 뉴질랜드에는 타조와 유사한 '모아'가 살고 있었다. 키는 13피트 무게는 ... ...
태평양의 열대꽃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또 종이꽃처럼 보이는 '부우겐빌리아'는 우리나라의 개나리와 비슷한 성질이 있어 마른
땅
에서도 잘 자라므로 울타리꽃으로 각광을 받는다. 꽃을 보면 짙은 녹색의 나무잎에 흰색 오렌지색 연한 자주색 붉은 자주색 그리고 진붉은색 등의 꽃이 핀다. 그런데 이것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여러가지 ... ...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설에 한때 큰 혼란에 빠지기도 했다. 원자로 노심이 녹으면 많은 방사능 물질이
땅
속으로 스며드는데 이경우는 흑연이 타면서 산소를 빨아들인뒤 방사성 동위원소를 공중으로 마구 뿜어댔다. 그중의 일부는 이웃 키예프의 수원지로 흘러들어가는 프리피야트강을 오염시켰다. 소련당국의 엄중한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